
한화생명이 내년 4월로 예정되있는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예정대로 행사할 방침이라고 16일 밝혔다.
최근 흥국생명 콜옵션 사태 이후 한화생명의 콜옵션 행사에 대한 우려와 추측이 이어지자 입장을 명확히 하는 모습니다.
한화생명은 지난 4월 5000억원 규모의 조기상환을 무리없이 완료한 상황이며 내년 4월로 예정된 10억불에 대한 콜옵션도 차질없이 준비중이라 말했다.
환화생명측은 "해당 신종자본증권은 발행 당시 금융당국 가이드에 따라 국내에 유입되지 않고 모두 해외 외화자산으로 매칭되 운용중"이라며 "내년 1분기에 외화자산의 현금화를 통해 해당 신종자본증권 상환을 진행하는 것이라 추가적 자금 확보도 필요없고 외화자산이라 환율 변동과도 무관하다"고 우려를 잠재웠다.
지난 9월 공시했던 콜옵션 이행을 위한 차환 발행 계획에 대해선 높은 금리로 필요성이 없어져 발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향후 추가적인 발행 여부와 시기, 규모 등은 지속적으로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결정할 계획이라며 "현재 내년 차환 발행 없이 조기 상환을 가정해 보수적인 자산운용을 하고 있으므로 내년 상환 시점에는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본 유동성 우려에 대해서도 문제없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금리 상승 및 은행 등 고금리 자금수요 증가로 보험업권의 해약이 다소 증가하고 있지만 통상 유지중인 유동성 자금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여기에 최근 일시납 저축 상품 판매 확대도 추진중에 있는데 5년 만기 상품으로 노출기간이 길지 않고 이차 역마진 없이 투자 가능함에 따라 단기 자금 확보는 물론 자산 증대를 통한 신규사업 확대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콜옵션 행사에 따른 RBC비율 하락에 대한 입장도 내놨다. 올 9월말 한화생명의 RBC비율은 159% 였다.
한화생명은 올해 말 170% 수준을 목표로 남은기간 관리에 들어갈 계획이라면서도 상환이 실시되는 내년엔 새로운 감독규정인 K-ICS 비율 기준으로 평가될 것이라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내년 K-ICS비율은 K-ICS 계량영향평가 실시 기간 동안에는 대외 공개가 불가하다"며 "다만 수익성 높은 보장성 중심의 월초 확대 등을 통한 가용자본 확대 및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 관리, 변액보험 헤지 확대 등을 통한 요구자본 축소 노력을 통해 감독당국이 요구하는 수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으로 K-ICS 비율을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교보생명 5.8% 저축보험 출시... 불붙은 생보사 금리 경쟁
- 한화그룹, 창업자 현암 김종희 회장 탄생 100주년 기념식 진행
- 내년 보험사 콜옵션 4조… 흥국생명 사태 충격 해소될까
- 흥국생명, 연기했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예정대로 행사한다
- 흥국생명,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실시...외화 조달 악영향 미칠까
- 코스피·코스닥, 기관 매도에 약보합
-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재계 6위 Lippo그룹과 MOU 체결
- 한화생명, 예비 신입사원 대상 ‘비치코밍’ 봉사활동 실시
- 한화생명, 2030 암 경험자 위한 치유 프로그램 ‘스쿨 오브 히어로즈’ 진행
- 한화생명, 임직원의 재능 기부…‘프로보노형’ 사회공헌활동 시작
- 행동주의 펀드에 물러선 태광산업… 주주권익 성과 굳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