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이익을 달성한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정책 색깔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흐름을 이어갈 경우 연간 현금배당성향은 최대 27% 수준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KB금융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각각 주당 500원의 분기배당을 지급했다. KB금융은 여기에 더해 1500억원의 추가 자사주 소각도 발표했다.
신한금융은 아직 2분기 배당금액을 확정하지 않았지만 1분기와 동일하게 주당 400원을 지급할 것이란 전망이다.
하나금융지주도 작년보다 100원 증가한 주당 800원의 중간배당을 지급했다.
이처럼 대형 3개 금융지주가 배당을 실시할 경우 상반기 중 2022년 예상 이익 기준 10%를 넘는 총 주주환원율을 달성하게 된다.
주주환원정책은 지방금융지주까지 번졌다. JB금융은 첫 분기배당을 진행한다. 올해 2분기, 한 번만 지급할 전망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과 유사한 수준으로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하겠단 경영진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3분기 실적도 긍정적이다. 기준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은행 3분기 순익은 예상치를 크게 웃돌 가능성이 커졌다.
또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이루고 있고 금리 하락 전환에 따른 채권관련손실 축소 등으로 기타비이자이익이 상당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금융당국의 규제와 함께 민간에 떠넘긴 새출발기금이 불안요인이다.
정부는 30조원 규모의 새출발기금으로 대출 상환이 어려움을 겪는 취약층 대출자의 부실 채권을 사들여 채무를 조정해 줄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은행들은 캠코 측에 부실채권을 넘겨야 하는데 정부가 정한 기준으로 삼을 경우 대규모 부실채권이 발생할 수 있다. 부실채권이 발생하면 은행은 충당금으로 이를 감내해야 하는 만큼 이익은 줄어들 수 있다.
일단 은행권에선 부실 차주의 조건으로 연체 일수가 30일 이상, 90일 미만으로 운영하자고 제안한 상태다. 감면율 역시 원금의 60~90%에서 10~50%로 하향 조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사실 은행권은 경기침체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2분기 대손비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5% 증가했다. 특히 IMF 수준까지 경기가 악화된다는 가정 하에서 위험 값을 반영해 대규모 충당금을 쌓았다.
그 결과 대부분 은행의 부실채권커버리지비율은 150%를 상회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세전이익 대비 10%를 넘는 선제 충당금 잔액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 쏘카 공모가 2만8000원 확정…하반기 IPO 전망 '빨간불'
- 금융권 수신전쟁 본격화…인뱅 이어 저축은행도 금리인상
- OK저축은행, 지방은행 배당으로 한숨 돌린다
- 미국 고용시장 안정세 속 연준 3번째 ‘자이언트스텝’ 가능성↑
- [Daily Pick 금융] 국민은행, 농협은행, 신한카드, 하나카드, KB증권 外
- 코스피, 하루 만에 2500선 회복…外人·기관 쌍끌이 매수
- KB금융, 프리미엄 종합자산관리 브랜드 ‘KB GOLD&WISE the FIRST’ 론칭
- 새출발기금 출범, 첫 발 뗐지만 곳곳에 '암초'
- 하나금융지주, KLPGA 정규투어 '하나금융지주 챔피언십' 개최
- 신한금융, 5년 간 33조 규모 금융지원 나선다
- JB금융 김기홍 회장, 자사주 2만주 추가 매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