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 슈퍼 주총데이가 시작됐다.
24일부터 25일, 이틀 동안 주요 금융지주 및 시중은행 주주총회가 대거 열린 가운데 일부 주총장에선 사모펀드 투자피해 고객들이 몰려 혼란도 발생했다.
일단 신한금융지주는 소액주주의 환영을 받으며 무사히 주주총회를 마쳤다.
앞서 ISS가 사외이사 재선임에 대한 반대 권고가 있었지만, 신한금융의 주주환원 정책에 힘입어 모든 안건이 무사통과됐다.
이날 신한금융지주는 15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 안건을 결의했다. 이는 소각목적으로 주가 부양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매입은 분기 배당으로 주주와 시장의 기대에 충족하는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자사주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금융이 취득 예정인 주식 수는 377만8338주로 발행 주식의 약 0.73%다. 전일 기준 신한금융 주가로 환산할 경우 약 1500억원에 달한다.
신한금융은 오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장내 매수할 예정이다.
주주는 즉각 환영했고 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등 안건에 찬성표를 던지며 경영진에 대한 신뢰를 보냈다.
이날 주총에선 박안순 대성상사 회장, 변양호 VIG파트너스 고문, 성재호 성균관대 교수, 윤재원 홍익대 교수, 이윤재 전 대통령재정경제비서관, 진현덕 페도라 대표, 허용학 홍콩 퍼스트브릿지 스트레티지 대표 등 7명의 사외이사가 재선임됐다.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은 주주총회 인사말을 통해 “지난해 신한금융은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 디지털 플랫폼 강화 및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ESG 경영 등 미래를 향한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며 “현실에 안주했던 과거, 불확실한 환경, 첨예한 경쟁을 돌파하며 ‘신한이 하면 다르다’라는 평가를 향해 임직원 모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기업은행 주총장에선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의 ‘성토의 장’이 됐다. 윤종원 은행장이 주총 안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안의 경우 발언을 자제할 것을 요청할 정도로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한 주주는 “기업은행 주주이자 디스커버리 펀드 사기 피해자로서 양면성을 가지고 주총에 참석했다”며 “금감원 분조위에서 나온 배상 결정안은 피해자들이 합의하지 않았으니 합의를 종용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주주는 “배당금 잔치하지 말고 피해자 배상을 하면 평판리스크도 해결되고 신뢰가 회복되지 않나”라고 반문하며 “한국투자증권이 100% 배상한 것처럼 윤 행장도 의지를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피해자 단체는 이사 보수 한도 승인, 감사 보수 한도 승인 등 안건에 대해서도 “이사가 그만큼의 보수를 받을 만한 일을 했느냐”며 반대 의견을 표했다.
- 하나금융 함영주 부회장, 2심까지 DLF 징계 효력 정지
- 대출 문턱 낮추는 은행권…침체된 부동산, 활력 불어 넣는다
- [Daily Pick 금융] 신한카드, 토스, 웰컴저축은행 外
- 이득 없는 서울시금고 유치 경쟁…신한·우리은행 속내는 따로
- 한은 차기 총재, 이창용 IMF 국장 지명했지만…공백 불가피
- 신한은행, 지속가능성장 위해 ESG위원회 신설
- 하나은행, 6억 달러 규모 ESG채권 발행
- 국제유가 상승에 코스피 약보합… 2729.66포인트 마감
- 취임과 동시에 현장으로 달려간 이원덕 우리은행장
- 주주친화 경영으로 6년째 미래에셋증권 이끈 최현만 회장
- DL이앤씨, 100% 무상증자 결정… "주주가치 극대화 의지"
- [Daily Pick 유통] 오리온, 11번가, 팔도, 코카콜라 外
- 국민연금,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 선임안에 찬성키로
- [출근길 5분 뉴스] 뉴욕증시↑·날씨·박홍근원내대표·신한울3·4호재개·신한금융·카카오페이최저임금·LG엔솔6조5천억투자·SK E&S'에버차지'인수·정의선·클리오횡령 등
- 기업은행, 1분기 당기순이익 6597억원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