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피해를 입은 기업을 위해 긴급 금융지원에 나선다.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긴급 관계기관 합동 점검회의를 열고 세부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을 통해 신규 운영자금 특별대출 2조원을 공급한다.
산업은행은 8000억원, 기업은행 7000억원, 수출입은행 5000억원 등 지원금을 배당받았다.
지원대상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 기업이다.
구체적으로 분쟁지역 내 진출한 현지법인, 공장 등을 보유한 기업과 최근 1년 동안 분쟁지역에 수출·납품실적을 보유한 기업, 향후 수출·납품이 예정된 기업은 거래증빙서류를 제출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2021년 1월 이후 분쟁지역으로부터 수입 또는 구매실적을 보유한 기업, 향후 수입·구매가 예정된 기업, 이들 기업과 협력·납품 등 중개무역을 하는 기업까지 폭넓게 대상을 확대했다.
특히 자금애로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중견·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한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지원 조건은 대출금리 0.04~0.10% 인하, 전결권 완화 등 우대조건을 적용해 자금을 지원한다.
피해기업은 국책은행이 운영 중인 특별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중소·중견기업 지원자금. 힘내라 대한민국 특별자금, 수출입기업 유동성 지원자금 등을 운영 중이다.
수출입은행은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최대 0.10%의 대출금리를 인하해 준다.
이 밖에도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라 피해를 입거나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견·중소기업에 대출·보증을 1년간 전액 만기연장하는 등 특별 상환유예도 시행한다.
시중은행 역시 만기연장 및 신규자금 지원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담당자를 면책해 준다.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4일부터 시행되며 정책금융기관별로 우크라이나 사태 피해기업 상담센터도 운영한다.
- 고승범 금융위원장 "필요시 2조원 규모 긴급 금융지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국내증시도 패닉… 달러 1200원 돌파
- 금융지주 사외이사 여풍…성평등 해소까진 먼 길
- 외국인·기관 매도 전환…코스피 1.22% 하락한 2713.43p 마감
- 삼성전자, 16일 주총 앞두고 전자투표 시스템 오픈
-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포항제철소 찾아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 강조
- SK그룹, 울진·삼척 산불 피해복구 성금 20억원 기탁
- 두산그룹, 강원·경북 산불피해 복구지원 5억원 기탁
- 롯데, 경북·강원 산불 피해복구 성금 10억원 기탁
- 기업은행, 퇴직연금 DB·DC형도 비대면 가입 가능
- [출근길 5분 뉴스] 바구니투표논란·특별재난지역·통신3사비상체제·4호선연장·SKESG경영·유니텔 등
- 러-우 리스크 확대…원/달러 환율 1226원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