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에서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와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에서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와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최대 2조원의 긴급 금융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에서 금융감독원·국제금융센터와 시장상황을 점검하고, 이같이 밝혔다.

고 위원장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우리 기업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출입 기업 등의 피해범위·자금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긴급금융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해 관련기업의 자금애로 해소에 필요한 자금(최대 2조원)을 적극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어제 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시각각 급변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환율은 상승해 1200달러를 상회하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더해 글로벌 긴축 등이 중척되어 대외리스크가 점증하고 있는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적시에 탐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금융위와 금감원, 국제금융센터 등 유관기관과 관련 해외지사와의 핫라인을 가동하는 등 긴밀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교류하는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찬우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국내 금융회사의 대러 익스포져 비중(0.4%, 14.7억달러)은 작지만 제재수위 강화, 위기확산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 등의 자체 대응방안 마련과 외화유동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사태 장기화시 원자재 가격의 급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