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1년 새 0.75% 상승하는 동안 은행권 신용대출 금리는 배 이상 올랐다.
신용대출의 경우 고객의 신용도와 함께 시장금리에 연동된 특성이 있지만 예금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수준에서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서민들의 빚부담이 큰 폭으로 늘어난 셈이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리’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1.70%를 기록했다.
반면 대출금리는 연 3.25%로 전월대비 0.02% 상승하는데 그쳤다.
1개월 사이의 변화를 두고 봤을 때 예금금리가 더 많이 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1년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출금리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특히 서민금융과 밀접한 신용대출의 경우 지난해 3.50%에서 5.12%로 1.62% 상승했다.
가계 대표 저축상품인 1년 정기예금은 같은 기간 1.02%에서 1.79%로 0.77% 밖에 오르지 못했다. 정기적금 역시 1.16%에서 1.61%로 상승폭은 기준금리 인상 수준보다 낮았다.
한편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 차이는 1.55%로 전월대비 0.11% 낮아졌다.
그러나 잔액기준으로는 예대금리차가 2.21%로 0.02% 더 벌어졌다. 이는 2019년 8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 DGB캐피탈, 20년 여신전문가 새 수장으로…김병희 대표이사 선임
- 우리은행, 모바일 운전면허증 실명확인 서비스 전개
- LG에너지솔루션, 내달 MSCI 조기 편입 확정… "최대 5550억원 자금유입 전망"
- [출근길 5분 뉴스] 뉴욕증시·명절날씨·정경심·최신원·금감원·하나은행·배터리주가 등
- 은행주 사상 최대실적 기대…이익분배 위한 주주환원 필요
- 한국조선해양, 필리핀서 5830억원 규모 초계함 2척 수주
- 설 연휴 앞두고 코스피 반등 성공…1.87% 상승한 2663.34p 마감
- 하나금융, 김정태 회장 후임 5명 압축…함영주 부회장, 박성호 은행장 포함
- [머니테크] 기준금리 인상에 저축은행 상품 비교해보니
- [머니테크] 청년이라면, 희망적금 통해 최대 연 10% 금리 받아가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