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말기 금융공기업 자리를 두고 낙하산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은 5일 신임 상임이사로 조충행 전 금융위원회 금융공공데이터담당관을 선임했다.
조충행 신임 상임이사는 1963년생으로 공주고, 홍익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이어 2004년 재정경제부에서 국제금융국 국제금융과, 정책홍보관리실, 금융정책국 은행제도과 등을 거쳐 2008년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 서민금융과, 은행과,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 행정인사과 등 핵심 부서를 거쳤다.
2018년 국가정보원 민관군 사이버위협 합동대응팀에도 약 3년 동안 재직했다.
경력상으로 봤을 때 큰 흠결은 없다. 다만 노조 측에서 낙하산 인사에 대한 반감이 크다.
신보 상임이사의 경우 임기 2년에 1년 연임 등 통상 3년까지 머무르는 게 관행이다. 그러나 전임인 박창규 이사가 임기 2년만 채운 채 떠나자 노조 측에서 의구심을 제기한 것이다.
낙하산 인사는 신보만 해당된 이야기가 아니다. 정권 말기일수록 금융공기업의 ‘자기 사람 꽂기’가 비일비재하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역시 오는 1월 14일 주주총회를 앞두고 개인 부실채권 정리를 담당하는 금융본부장 상임이사직에 국방부 산하 방위사업청 부이사관을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담당이사 임기는 2021년 2월 27일까지였지만, 정부는 10개월 동안 늦장 인사를 하다가 비전문 인사로 내정해 반감을 샀다.
오는 4월 임기 만료를 앞둔 금융결제원장에 대한 후임 인사도 금융노조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지난 35년 동안 특정기관 출신 인사의 낙하산 선임이 또다시 재발되는 것에 반대하며 직원 정서가 반영된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능력이 검증된 인사가 선임돼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관련해 금융결제원을 둘러싼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밥그릇 싸움이 뜨거웠던 만큼 차기 원장 자리를 두고 격돌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현 김학수 금융결제원장의 경우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그동안 금융결제원장은 한국은행 출신이 맡아왔는데 금융위 출신이 선임된 건 처음이었다.
그러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금융결제원 원장후보추천위원회 위원을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느냐”란 질문에 “맞다”라고 답해 한국은행 측에서 후보 추천을 예고한 상태다.
- 신용대출 물꼬 튼 케이뱅크, 1인당 최대 2억5천만원까지 대출
- 신한라이프, 연세대와 손잡고 금융컨설팅 전문가 육성 나선다
- 교보생명, 마이데이터에 스타트업 혁신서비스 이식
- 신한카드, 고령층 디지털 금융 역량 강화 지원
- 던지는 기관, 쓸어담는 개인…코스피, 혼조세에 하락 마감
- 美 CES 박람회서 인공지능 뱅커 소개한 신한은행
- 신용보증기금, 정보공개 종합평가 ‘최우수’ 달성
- 예금보험공사, 낙하산인사 자리만들기 심각… 5년간 16명 달해
- [NJ Fact Check] 정권 바뀌자 급하게 금융결제원장 선임 들어간 한국은행
- 금융공기업 수장, 정부 부처 '나눠먹기' 인사 재탕
- “유재훈 후보, 자격 없다” 예보 노조, 차기 사장 지명철회 요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