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은 젊은 고객층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공식유튜브 채널 'Samsungpop'을 통해 언택트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사진=삼성증권
삼성증권은 젊은 고객층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공식유튜브 채널 'Samsungpop'을 통해 언택트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사진=삼성증권

최근 젊은 고객이 자산 증식을 위해 주식시장으로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정보 부족으로 투자 성공까지 이어지기 힘든 게 현실이다.

이에 삼성증권은 안내자 역할을 자처하는 서비스로 이들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있다.

삼성증권은 올해 6개의 FM(Finacial Manarer)팀을 신설했다. FM팀에는 평균 12년 이상의 베테랑 PB 108명을 배치했다.

이들은 시스템 문의와 같이 단순한 업무 문의 응대부터 자산 포트폴리오 컨설팅, 종목 상담, 주식 주문과 같은 투자 관련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문에서 원스톱으로 상담을 제공한다.

쉽게 설명하면 온라인 채널과 PB 상담을 연계해 새로운 영역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증권이 이와 같은 변화에 나선 이유는 고객은 여전히 직원 상담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접촉 제약, 수수료 혜택 등으로 고객들은 온라인 채널로 발길을 옮겼지만, 투자와 업무에 있어서 도와줄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실제 삼성증권이 지난 1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7.7%의 디지털 고객은 비대면 시대에도 ‘직원 상담 서비스’를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꼽았다.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 결과 고객 반응은 뜨거웠다. 지난 1월부터 한 달 동안 FM팀을 통해 매일 3217건, PB 1인당 33건에 달하는 전화 상담이 진행됐다.

고객 만족도 평가에서도 ‘만족’ 응답이 93.6%에 달할 만큼 긍정적이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투자자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증권사의 서비스는 과거 관행대로 천편일률적으로 제공 중”이라며 “고객 요구나 성향에 따라 세분화된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문성 높은 PB의 역량과 온라인 시스템 경쟁력을 결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성향이 결합된 고객 눈높이에 맞는 최적의 상담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프리미엄 서비스라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은 다양한 컨셉와 신속한 투자정보를 담은 동영상 콘텐츠로 젊은 고객의 눈도 사로잡고 있다.

삼성증권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Samsung POP’은 국내 투자 정보를 넘어 미국·중국·유럽 등 글로벌 증시와 금융투자 상품, 세무, 연말정산 등 다양한 영역의 주제를 쉽게 풀어 설명하는 동영상을 제공 중이다.

삼성증권 유튜브 영상의 한 편당 평균 조회수는 14만4000뷰, 누적 시청시간은 약 168만 시간에 달한다.

특히 올해부터 라이브 투자 정보 콘텐츠 등 다양한 방송을 추가로 늘리며 소통 창구로도 활용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