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SK, 현대차그룹, LG 등 국내 주요 그룹이 16일 대통령실 주재 민관 합동회의에서 대규모 국내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최근 대미 투자 확대에 따른 산업 공동화 우려를 해소하고, 정부의 경제정책에 보조를 맞추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번 회의는 한미 관세협상의 세부 합의 내용을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 도출 이후, 후속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은 "대미 투자가 국내 투자를 위축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며 "비슷한 조건이라면 국내 투자에 더 힘을 써 달라. 특히 지방 산업 활성화에 각별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에 재계는 앞다퉈 국내 투자 확대 계획을 내놓으며 화답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국내 산업투자와 관련한 우려가 일부 있겠지만 그런 일이 없게 하겠다"며 "지난 9월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매년 6만명씩을 국내에서 고용하고, 연구개발(R&D)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도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SK 회장은 "당초 2028년까지 128조원을 투자할 예정이었지만, 용인반도체클러스터만 해도 총 600조원 규모로 투자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매년 8000명 이상을 채용해왔고, 2025년까지는 팹(Fab) 단위 가동에 따라 연 1만4000명에서 최대 2만명까지 고용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향후 5년간 연간 25조원씩 총 125조원을 국내에 투자할 계획"이라며 "올해 7200명을 채용했는데, 내년에는 1만명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라며 "수출 지역 다변화를 추진하고, 국내 공장의 완성차 수출을 확대하고, 특히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을 통해서 자동차 차량 수출을 2030년까지 현재 대비해서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LG그룹 구광모 회장도 향후 5년간 100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약속했다. 한화는 '마스가' 자 등을 포함해 5년간 11조원을, HD현대는 에너지·AI 8조원과 조선·해양 부문 7조원을 포함해 총 15조원을 국내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현재 5000억원 규모의 스타트업 투자 펀드를 1조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발표는 재계가 국내 투자를 지속할 의지를 명확히 밝히며, 기업들이 여전히 대한민국을 전략적 본거지로 삼고 있음을 재확인한 사례로 평가된다.
- SK그룹,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 투자…AI·반도체 중심 산업 혁신 가속
- 현대차그룹, 5년간 125조2000억 국내 투자…AI·로봇·수소에 집중
- 삼성, 5년간 국내에 450조원 투자…AI·반도체·지역 성장 드라이브
- 머리 맞댄 이재명-재계 총수…삼성·현대차·SK, 700조 국내투자 '쾅' [이슈 더보기]
- 정의선 현대차 회장의 125조 전면 투자…구조 개편 포석
- 현대차 정몽구 재단, '임팩트 스타트업 데이' 개최
- 정부, 론스타와 ISDS 판정 취소소송 승소…4000억원 배상책임 소멸
- AI 거품론 지운 엔비디아…삼성·SK하이닉스 HBM 수혜 기대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