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그룹이 과거 DL그룹의 저가 거래로 여천NCC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며 부도 위기 극복을 위한 자금 지원에 동참할 것을 요구했다. 전날 DL그룹의 유상증자 결정으로 여천NCC 자금 지원 가능성이 열렸지만, 사태의 책임을 둘러싸고 주주 간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12일 한화는 자료를 내고 "올해 초 여천NCC는 국세청 세무조사에서 에틸렌, C4R1 등 제품의 저가 공급으로 법인세 등 추징액 1006억원을 부과받았다"면서 "DL과의 거래로 발생한 추징액이 962억원(96%), 한화와의 거래는 44억원(4%)"이라고 밝혔다.
DL과 거래로 발생한 추징액은 △에틸렌 489억원 △C4R1 361억원 △이소부탄 97억원 △기타 15억원이다.
한화는 "국세청은 DL이 부당한 이익을 취한 것으로 보고 법인세 추징액을 부과한 것"이라며 "한화는 국세청의 처분 결과를 수용해 한화에 대한 계약 조건도 공정하게 시정하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원료 공급 협상과 관련해 "국세청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장 가격으로 새롭게 계약이 체결돼야 하나 대림은 시장 가격 대비 저가로 20년 장기 계약을 주장하고 있다"면서 "향후 20년간 여천NCC에 빨대를 꽂아 막대한 이익을 취하겠다는 말과 다름없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DL 주장대로 불공정거래 조건을 이어갈 경우 여천NCC는 국세청으로부터 또다시 과세 처분 등을 당해 거액의 손실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라며 "한화는 거래 조건의 적정성에 대해 외부 전문가의 객관적인 검증을 받을 용의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여천NCC의 주주사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급박한 부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자금지원에 동참해 여천NCC 임직원과 지역사회, 석유화학업계의 불안을 해소해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