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생명과 ABL생명 노조가 2일 우리금융지주를 대상으로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사진=이상현 기자
동양생명과 ABL생명 노조가 2일 우리금융지주를 대상으로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사진=이상현 기자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같은 금융그룹 아래 편입되는 가운데 통합작업(PMI)까지의 시차는 클 것으로 분석된다. 노사간 위로금 등 조율되지 않은 문제가 쌓여 양 측간 입장 정리가 선제적인 숙제가 됐기 때문이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양 사 노조는 지난 2일 고용보장·위로금 문제로 사측·관계사과 접선했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은 우리금융그룹 자회사로 편성된 뒤 같은 생명보험사인 만큼 PMI 일정을 진행한 뒤 합병 절차를 거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양 사 노조와의 불화 해결이 선제적인 숙제로 떠올랐다.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른 것은 위로금 문제다. 양 사 노조는 기존 대주주인 중국 다자보험그룹이 과거 매각 위로금 지급에 대해 침묵한 이후 위로금의 책임 소재가 요원한 상황이다. 

통상 매각 위로금은 기존 대주주가 매각되는 회사의 직원들에 인수에 따른 이득을 고려해 지급하는 자본이다. 과거 오렌지라이프·푸르덴셜생명·라이나생명·알리안츠생명 등이 매각됐을 당시에도 매각 위로금을 각각 지급한 사례가 있다.

현재 양 사 노조는 인수자인 우리금융그룹에 요구 사항을 관철하기 위해 지난 5월 말과 지난달 초 우리금융 본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특히 동양생명 노조는 고용 보장 등과 함께 과거 처브그룹이 라이나생명을 인수했을 당시 지급된 기본급 최대 1200%의 매각 위로금을 요구하며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95.7%의 파업 찬성률을 확보했다. 

해당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PMI 지연이 예상되는 만큼 모회사인 우리금융그룹의 입장이 난처해진 상황이다.

우리금융그룹은 지난해 우리투자증권을 재출범한 이후 이달 초 보험사 인수를 마치며 종합금융그룹 포트폴리오를 갖추는 데 성공했다.

다만 PMI 과정에서의 시차가 기존 예상과 달리 지연될 경우 양 사 내부의 피로도 증가와 그룹사별 시너지 기대도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커진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다자그룹이 위로금을 지급하지 않고 떠난 이후 양 사 노조와 인수자인 우리금융그룹 모두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노조와 그룹간 이해관계 조율에 따라 PMI 속도 역시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