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B생명이 최근 회계상 자본잠식 상태에 진입했다는 보도에 대해 보험 계약자와 시장의 불안 해소를 위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KDB생명은 IFRS17 제도 도입 이후 보험계약을 시가로 평가하고 시장금리 하락·감독당국의 보험부채평가 할인율 추가인하 조치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평가손실이 자본에 반영돼 자본잠식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실제 보험금 지급 여력이나 현금 유동성 부족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험회사의 실질적인 지급 능력이나 가입고객 계약의 보장 안정성과는 별개의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KDB생명은 지급여력(K-ICS)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 158.2%(경과조치 후),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경과조치 후)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KDB생명은 "현재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고자 금융당국 및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긴밀하게 논의 중"이며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한 상품 포트폴리오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견고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