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
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31일 공시했다.

지분 증여 이후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순이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 이번 증여로 한화에 대한 실질 지분율은 42.67%에 달하게 된다. 이로써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는 공식적으로 마무리됐다.

김승연 회장은 회장직을 유지하며, 향후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 역할을 이어갈 예정이다.

김승연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정상적, 필수적 사업활동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나선 것이다.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이 납부할 증여세는 약 2218억원 규모다. 3월4일부터 31일까지 평균 주가 기준으로 산정된 수치다. 한화그룹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투명하고 성실하게 납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2006~2007년 김 회장이 지분 일부를 증여할 당시 세 아들은 1216억원의 증여세를 냈으며, 김 회장도 1981년 당시 277억원의 상속세를 납부한 바 있다.

과세 기준 가격은 4월30일을 기준으로 전후 두 달간의 주가 평균으로 결정된다. 이는 상장사 내부자 거래 공시제도에 따른 것이다. 한화 측은 "주가를 낮은 시점에 맞춰 증여했다는 의혹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화 주가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발표 이후 상승해 지난 3월10일에는 5만2300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7년 8월 이후 처음으로 5만원을 넘긴 수치다. 31일 기준 종가는 4만950원이다.

그룹은 "유럽 방산 블록화, 선진국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한 것"이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승계와 무관한,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승계 완료로 인해 '한화와 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한 기업가치 조정'이라는 의혹도 불식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