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53%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0.44%) 대비 0.09%p 상승한 수치로 기업·가계 대출 전 부문에서 연체율이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25년 1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1월 중 신규 연체채권 발생액은 3조2000억원으로 전월 2조5000억원보다 7000억원 증가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원에 그쳐 전월 4조3000억원보다 3조3000억원 감소했다. 이로 인해 연체채권 증감 규모는 2조2000억원 증가해 연체 잔액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신규연체율은 0.13%로 전월(0.10%) 대비 0.03%p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0.50%)보다 0.11%p 올랐다. 중소기업 연체율은 0.77%로 0.15%p 상승했고 중소법인은 0.82%로 0.18%p 높아졌다.
개인사업자 대출도 0.70%로 0.10%p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05%로 0.02%p 상승했지만 전년 동월(0.12%)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0.38%) 대비 0.05%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0.03%p 증가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84%로 0.10%p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은 "1월에는 연말 기저효과로 인해 연체율이 반등했다"며 "연체율은 코로나19 이전 장기 평균치(0.78%)보다는 낮지만 최근 신규연체 발생이 늘고 있어 당분간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적립을 유도하고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에 대해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를 통해 연체 부담을 줄이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