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자동차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밝힌지 하루 만이다. 좋은 분위기 속에서도 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한국이 향후 상호관세에서 만큼은 완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이목이 모인다.
2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월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연간 1000억 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자국에서 사업을 해 일자리와 부를 빼앗아 온 국가들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유럽, 멕시코, 캐나다 등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 자동차 업계도 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 기준 한국의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 달러) 중 미국 수출액 비중은 약 49%(347억4400만 달러)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 현지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나와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정 회장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공식화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국내 기업이 밝힌 첫 대미 투자 계획인 데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백악관에서 발표할 것을 제안할 만큼 분위기가 좋다 보니 업계에서는 이 투자 발표를 통해 한국이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발표로 분위기는 급변했다.
이를 미리 감지라도 한 듯 정 회장은 이날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는 국가 대 국가의 문제이기 때문에 개별 기업이 큰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며 "투자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이제 남은 것은 상호관세 부과 여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모든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예외를 두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25% 관세에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미국에서 한국 자동차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며 "현대차그룹이 현지에서 좋은 분위기를 만들어 놓은 만큼 정부가 함께 적극적으로 나서 상호관세 만큼은 완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 트럼프 "車·반도체 관세, 한달 내 발표"… 산업계 긴장감 고조
- 트럼프 '상호 관세' 부과 초읽기, 대응 전략은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백악관서 "미국에 210억 달러 투자"
- 트럼프 관세 정책, 韓 가전업계로 불똥 튈라
- 트럼프발 '반도체법 폐기·관세 폭탄'… 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은
- 현대차그룹, 개발자 컨퍼런스 'Pleos 25'개최
- 현대차, 글로벌 인재 채용 실시… 3개 채용 프로그램 구성
- 현대차, 노사합동 안전 브랜드 '바로제로' 공개
-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발표… 일본보다 높아
- 미국, 상호관세 전면 도입… 기업별 파장은
- 트럼프, 한국 등 70여개국 상호관세 90일 유예… 중국은 125%로 인상
- 현대차그룹, 인니서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 프로젝트 본격화
- 현대차·기아, 4년 연속 세계 '올해의 자동차' 석권
- 현대차그룹, 포스코그룹과 철강·이차전지 분야 협력한다
- 4월 대미 자동차 수출 19.6% 감소… '트럼프 관세' 영향 본격화
- 현대가 4세 정석준, 미국 골프 의류·콘텐츠 사업 '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