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증권사의 당기순이익이 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이 24일 발표한 '2024년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60개 증권사의 당기순이익이 6조98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3.0% 증가한 수치로 지난 2022년 4조5000억원으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는 주요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가 꼽힌다. 해외주식 거래대금 증가와 일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신규 취급 재개로 위탁매매 부문과 기업금융(IB) 부문의 실적도 각각 7346억원, 4652억원 증가했다.
수수료 수익은 전년 대비 10.4% 증가한 12조945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주식 거래 급증으로 수탁수수료가 13.3% 증가한 6조2658억원을 달성했다. IB(기업금융)부문 수수료는 일부 우량 부동산 PF 신규 취급 등으로 인수·주선/채무보증 수수료가 증가하면서 14.2% 늘어난 3조7422억원을 기록했다.
자산관리부문수수료는 1조2903억원으로 펀드판매·투자일임 수수료 증가 등에 따라 전년 1조1185억원 대비 1718억원 증가했다.
자기매매 손익은 전년 대비 3조3641억원 증가한 12조5776억원을 달성했다.
재무상태도 개선됐다. 지난해 말 기준 증권회사의 자산총액은 755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0.0% 증가했으며, 자기자본은 91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인 순자본비율은 801.8%로 전년 말 대비 55.0%포인트 상승했다. 모든 증권회사 순자본비율이 규제비율 10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버리지 비율은 평균 66.28%로 전년 말 대비 15.9%p 올랐다. 다만 규제비율을 충족하지 못한 증권회사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감독원은 "종투사 등 대형 증권사의 경우 자기매매와 위탁매매 부문 등에서 이익이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됐다"며 "다만 중소형 증권사는 대손비용 증가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다"고 밝혔다.
이어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부동산 PF·해외 대체투자 부실화 등의 리스크도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며 "증권사의 유동성·건전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부실자산 정리 지도 등을 지속하는 한편 NCR 산정방식 개선·유동성 규제체계 정교화 등을 추진해 증권사의 손실흡수 능력 확충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선물회사 3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799억1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3.9%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