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당국이 선제적 책무구조도 도입 증권사에 혜택을 제시하면서 증권사들의 내부통제 열기가 달아올랐다. 대형 증권사들은 주주총회를 앞두고 내부통제위원회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KB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내부통제위원회를 두고 책무구조도 제출을 위한 마무리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직원의 내부통제와 위험관리 책임을 명확히 하는 제도다.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업무 연관성에 따라 최고경영자(CEO)에게까지 내부통제 책임을 묻는다.

18개 금융지주와 은행은 이미 책무구조도를 제출해 제도를 적용 중이다. 증권사는 자산총액 5조원, 운용자산 20조원 이상이면 올해 7월까지 책무구조도를 제출해야 한다. 그 외 증권사는 한 해 늦은 2026년 7월까지가 제출 기한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증권사의 원활한 책무구조도 안착을 독려하기 위해 선제적 도입에 따른 제도적 혜택을 예고했다. 책무구조도 시범운영 개시일인 4월 11일 전에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는 증권사에는 자문, 점검 등의 컨설팅을 제공한다.

아울러 시범운영 기간에 발생하는 내부통제 관리 의무 위반 책임을 묻지 않는다. 임직원의 법령 위반 등을 자체 적발하고 시정하는 경우 제재를 감경·면제해 준다.

이에 미래에셋·한국투자·키움·삼성·신한투자증권 등 대형사들은 시범 운영 기간에 적극 참여 의사를 드러냈다. 대다수 증권사들이 개시일 이전에 책무구조도를 도입하기 위해 열띤 준비에 돌입했다.

내부통제위원회 설립을 위한 움직임도 분주하다.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7월 지배구조 내부 규정을 개정하고 이사회 산하에 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했다. 하나·KB증권은 내부통제위원회를 설립하고 앞서 책무구조도를 제출한 금융지주사와 은행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교보증권은 지난 20일 이사회에서 지배구조 내부규정을 개정했다. 다음 달 이사회 안에 내부통제위원회를 설립할 계획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금융사고 발생 이후 내부통제 강화에 속도를 내면서 내부통제위원회를 마련했다. 지난달 책무구조도 운영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책무구조도 도입 준비를 마무리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시범운영 기간과는 별개로 자발적인 선제 도입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미래에셋·한국투자·키움·삼성증권은 책무구조도 준비와 함께 내부통제위원회 설립을 앞두고 있다.

이들 증권사는 3월 주주총회에서 내부통제위원회 설립안을 의결하고 즉시 이사회 내에 편제할 예정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사회 내 내부통제위원회 편제는 정관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라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며 "설립 후 시범운영 기간에 차질 없이 참여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