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해양조사원은 이어도와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에서 수집된 해양·기상 관측자료를 유엔(UN) 산하 국제 해양 관측망인 '대양관측망 네트워크'(OceanSITES)와 '해양과학자료공개'(SEANOE)에 등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등록으로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의 품질관리된 관측자료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게 됐다.
2023년에 관측된 자료는 이어도와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에서 수집된 해양자료(수온, 염분)와 기상자료(바람, 기압, 기온, 습도)로 구성됐다.
이 자료는 지난 1년간 전문가들의 철저한 품질 검토와 체계적인 전처리 과정을 거쳐 '대양관측망 네트워크'가 요구하는 국제 기준을 충족했다. 또 기존에 등록된 2018~2022년 자료와 함께 총 6년간의 자료가 국제 연구자들에게 공개됐다.
특히 등록된 자료에는 관측 항목, 시간 간격, 관측 장비, 설치 환경 등 상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연구자들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해양과학자료공개'를 통해 디지털 객체 식별번호(DOI)를 부여받아 자료의 영구적 저작권 보호와 신뢰도를 확보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2003년 제주도 남서쪽 149km 해상에 설립대 태풍, 양쯔강 유출수, 괭생이모자반 등 주요 해양 현상을 감시하며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전초기지로 자리잡았다.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는 2014년에 건립돼 육지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에서 동북아시아 대기 오염물질의 배경농도를 관측하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우리 해양과학기지의 관측자료가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과학적 자산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