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권역 예담고'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해양권역 예담고'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한국문화유산협회와 16일 오후 2시 전남 목포에 조성한 '해양권역 예담고(庫)'의 개관식을 개최한다고 이날 밝혔다.

예담고는 발견되거나 발굴한 유물 중 국가 귀속유산으로 선정되지 않은 유물을 안정적으로 보관·관리하고 전시·교육·체험 등에 활용하는 시설로, 현재 충청권·호남권 예담고가 운영 중이다.

목포에서 개관하는 해양권역 예담고는 전남 도서지역 여학생들의 기숙사로 사용(1979~2003)되다가 유휴시설로 남아있던 '청해사'를 새 단장했다.

이 공간에는 54개 유적에서 출토된 발굴유물 4만1000여 점이 보관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는 제주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고산리 토기, 광양 신금리 의암패총에서 출토된 골각류와 패각류, 태안 마도 해역에서 발견된 자기류 등이 있다.

'바다를 건너, 시간을 넘어'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바다를 건너, 시간을 넘어'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개관을 기념해 16일부터 해양권역 예담고 상설전시관에서 '바다를 건너, 시간을 넘어'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군산 십이동파도, 비안도 유적 등에서 발굴조사된 160여 점의 유물을 관람할 수 있으며 발굴유물의 분류, 세척, 접합 등 보존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 전시로 구성될 예정이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영남권, 수도·강원권에도 예담고를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