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국책은행 수장과 만나 국내 금융시스템 회복력을 해외에 적극 알려달라고 요청했다.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탄핵 소추안 투표 불성립으로 원·달러 환율이 치솟는 등 정치 리스크가 금융에까지 큰 영향을 끼치는 탓이다.
9일 금융위원회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주재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5대(KB금융·신한·하나·우리·NH농협) 금융지주 회장, IBK기업은행장,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한국거래소 이사장, 은행연합회장, 금융투자협회장과 만나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대응 과제를 논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지주회사는 그간 위기 시마다 높은 건전성을 바탕으로 금융안정에 중추적 역할을 했다"며 "자회사 유동성과 건전성을 다시 한번 면밀히 점검하며 기업 등 경제주체 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자금 운용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지주는 대외신인도 측면에서도 최전방에 있다"며 "외국계 금융사 및 투자사 등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지주사 안정성은 물론 우리 금융시스템 회복력에 대해서도 적극 소통해 달라"고 덧붙였다.
국책은행과 거래소 등 정책금융기관과 증권유관기관에도 "시장안정조치 실행 기관으로서, 민생과 실물 부문 자금공급자로서 각 기관 역할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조금이라도 어려움이 있다면 금융당국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부문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금융시장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 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당부와 함께 △10조원 규모 증안펀드 △40조원 규모 채안펀드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증권금융 외화유동성 공급 등 준비한 시장 안정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자본시장 밸류업 정책 △불법공매도 근절 시스템 구축 △제4인터넷전문은행 인가 등 이전에 발표한 정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소상공인·자영업자 금융부담 완화 △실손보험 개혁 등 대책도 일정대로 추진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은 경제의 혈맥"이라며 "금융이 안정적으로 제 역할을 하는 한 우리 경제는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