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은행에 외환시장 변동성 우려를 고려해 기업들의 외화 결제와 외화 대출 만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해달라고 요청했다.
19일 금융위원회는 김병환 위원장이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기업금융 상황점검회의'에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시중은행과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이같이 당부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기업이 원재료를 매입하기 위해 수입신용장을 개설하면 개설은행이 수출업자에게 대금을 먼저 지급하고 일정 기간 후 기업이 은행에 결제 의무를 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구조에서 기업은 결제일에 외화 매입 수요가 발생하게 되는데 외화 결제와 대출 만기를 조정하면 연말 환율 급등 상황에서 기업의 외화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는 외환시장의 수급 부담 완화와 환율 안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은 정부가 △스트레스완충자본 도입 연기 △위험가중치 적용 기준 개선 등을 통해 은행의 건전성 부담을 경감해 기업금융을 확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비거래적 성격의 외환포지션(구조적 외환포지션)의 환율변동에 따른 시장리스크를 위험가중자산 산출에서 제외하고 보험사의 증권시장 안정펀드 잔여매입 약정금액에 대한 위험액 반영 수준을 절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신기사펀드와 벤처펀드 등 투자조합에 적용되던 400%의 위험가중치도 실제 투자된 자산에 맞게 조정된다.
김 위원장은 내년 은행 업무계획 수립 시 실물경제 안정을 위한 역할을 강조하며 "가계·부동산 중심의 자금 지원에서 기업·성장자금 중심으로 부채 중심에서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혁신적 자금지원 방식을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