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투자자들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금융업종에 대한 투자를 대규모로 철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이 다른 업종에 비해 정국 불안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을 것으로 보고 재빠르게 투자 자금을 회수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8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총 1조85억원을 순매도했다.
특히 금융업종에 매도세가 집중됐다.
외국인 투자자의 금융업종 순매도는 지난 4일 2551억원, 5일 2786억원, 6일 1759억원 등으로 총 7096억원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 금융업종 순매도가 이틀 연속 2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의 금융업종 지분율도 3일 37.19%에서 6일 36.12%로 1%포인트(p) 넘게 줄었다.
금융업은 전체 21개 업종 가운데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큰 폭으로 빠졌다. 금융업 다음으로는 보험업(-0.60%p), 철강·금속(-0.37%p), 증권(-0.26%p), 운수·창고(-0.22%p), 통신업(-0.16%p) 등이 뒤를 이었다. 보험업과 증권이 넓은 의미의 금융업에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외국계 자본의 금융업 투자 기피가 한층 더 두드러진다.
4대 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도 눈에 띄게 줄었다.
KB금융지주는 지난 3일 78.14%에서 6일 77.19%로, 신한금융지주는 61.09%에서 60.62%로, 하나금융지주는 68.29%에서 68.14%, 우리금융지주는 46.11%에서 45.84%로 예외 없이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사 주가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큰 폭인 약 1%포인트 감소한 KB금융은 사흘 동안 15.7% 하락했다. 신한금융은 -9.0%, 하나금융은 -7.9%, 우리금융은 -5.9% 등의 주가 하락률을 각각 기록했다. 외국인 지분율이 다른 업종의 주요 대기업보다 월등히 높은 국내 금융지주 특징을 고려할 때 외국인 이탈이 주가 급락세를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 KBS 통합뉴스룸 국장 '계엄령 사전 인지' 의혹 전면 부인
- 출판문화협회 윤 대통령 사퇴 촉구 성명서 발표
- BNK금융, 은행주 유일 외인 매수…"환율 영향 적다"
- '여행 주의 국가' 된 대한민국… 항공 업계 긴장
- 계엄사태 후폭풍…외국인, 은행주 2천억원 팔았다
- 외국인 4개월째 주식 팔고 채권 산다
- 회사채·IPO 다 멈췄다…투심 '꽁꽁'
- '매일우유 오리지널(멸균) 200ml' 세척수 유입…회수조치
- "탄핵 가결, 코스피 2500선에서 반등 예상"
- '세척액 혼입' 매일우유…자체 안전 기준 오히려 높았다
- 대통령 탄핵 선고에 코스피 2500선 넘기다 하락세…환율 급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