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5년간 국내 은행 점포가 1000여 개 줄어드는 동안 금융업계가 금융접근권 보장에 대해 충분히 고민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6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행사에서 이러한 문제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환영사에서 "디지털 전환과 비용 절감에 집중한 결과 물리적 점포 축소가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고령자 장애인 비도심 거주자 등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거래 환경이 점차 악화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점포 수는 지난 5년간 1189개가 줄어들며 5690개를 기록했다. 폐쇄된 점포 중 수도권이 708개 비수도권이 481개다.
특히 4대 은행이 전체 점포 폐쇄의 69%를 차지했다. KB국민은행 26.3%, 우리은행 24%, 신한은행 22.9%, 하나은행 18.8% 순이다.
ATM도 감소세를 보이며 2019년 대비 9307대가 줄어 27157대로 집계됐다. 은행 점포 수는 성인 인구 10만 명당 12.7개로 OECD 평균 15.5개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일본 33.7개와 미국 26.6개의 점포 수와 비교해도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 원장은 "금융산업은 국민에게 필수적인 공적 기능을 수행하는 산업으로 금융접근권 보장은 당연한 책무"라며 "은행들은 점포 폐쇄 관련 절차를 투명하게 이행하고 공동점포 이동점포 등 대체 수단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령층 대상 디지털 금융교육 강화와 장애인 접근성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행사에 참석한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AI와 챗봇의 상담이 늘어나고 있지만 디지털 역량이 낮은 고령층이 선택권을 잃어서는 안 된다"며 "사람과 대면할 권리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정의철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은 "장애 유형에 따른 개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금융서비스 환경 개선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연내 은행권과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금융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고 공동점포 설치를 위한 비용 분담 원칙과 협의 절차 가이드라인도 마련하며 AI 점포 등 점포 운영 전략 다변화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 제도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또 고령층을 위해 간편 모드 도입을 금융권 전체로 확대하고 인공지능(AI) 상담과 일반 상담원 간 선택권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장애인을 위해서는 응대 매뉴얼 정비와 유형별 인프라 확충을 통해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