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업계 새 회계기준인 IFRS17 시행 이후 실적 부풀리기 논란이 계속되자 보험사들의 인위적인 조작은 어려우며 중요 회계 이슈와 관련해서 금융당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참고자료를 통해 "보험회사의 재무제표는 독립된 감사인의 엄격한 확인을 거쳐 공개되는 정보로 인위적인 조작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IFRS17 회계제도의 준비 및 시행 과정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충분히 협의해 회계기준서에 입각한 결산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구축했으며 이 방법론에 따라 최선 추정을 통해 보험계약마진(CSM)을 산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예상보험금·사업비 대비 실제보험금·사업비에 대한 차이(예실차)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예실차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감독상 페널티가 있는 만큼 다수의 보험사가 적정 수준의 범위 내에서 예실차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들 협회는 "중요한 회계 이슈와 관련한 사항에 대해서는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적시에 해소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IFRS17 도입 이후 보험사들이 잇달아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한 가운데 금융당국은 2분기 결산이 나오는 8월까지 제도 개선 방향을 내놓기로 했다.
관련기사
- 생·손보협회, 우수인증설계사 3만3469명 선정
- 금융당국, 생명‧손해보험협회와 서천 특화시장 화재 복구 힘 모은다
- 생보협·손보협, 취약계층 '보험계약대출 이자 납입유예 제도' 시행
- 손해보험협회 "자동차사고 과실분쟁 3건 중 1건은 차로변경"
- 생보협회, 신임 전무이사에 김준 전 금융위 부이사관 선임
- 보험사 주담대 금리 인하 흐름…"금리 임의로 조정 어려워"
- '빅5' 손보, 또 역대 최대 실적…회계제도 논란은 계속
- 생보협회, 제8회 '골든 펠로우' 인증식 개최
- 생보협회 "치매 간병보험·유병자보험, 초고령사회 대비 수단될 수 있어"
- 금융당국, IFRS17 가이드라인·보험부채 할인율 연착륙 방안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