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제일은행 본사 전경. 사진=SC제일은행
SC제일은행 본사 전경. 사진=SC제일은행

SC제일은행도 홍콩 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배상 직격탄을 맞으며 실적이 감소했다.

SC제일은행은 2024년 1분기 당기순이익 40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1265억원)보다 857억원(67.8%p)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75억원으로 전년 동기(1714억원)보다 61억원(3.6%) 늘었다.

이자이익의 경우 순이자마진(NIM)의 개선에도 자산 규모 감소로 전년 동기대 비 5.6% 감소했다.

비이자이익은 소매금융에서 자산관리(WM) 부문의 판매수수료 등이 증가한 반면 기업금융에서 시장 변동성 완화로 외환파생상품 수요가 감소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비용의 경우 정기적 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증가했음에도 철저한 관리 및 절감 노력에 힘입어 전년동기(2306억원)보다 24억원(1.1%) 감소했다.

대손충당금전입액의 경우 전년동 기에 발생한 기업대출 충당금 및 PF대출 관련 선제적인 추가 적립 충당금이 기저 효과로 나타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87억원 감소한 1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충당금전입액은 상생금융지원 자율프로그램 관련 충당금의 영향으로 149억원을 기록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19%로 전년동기대비 0.32%p,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3.09%로 전년동기대비 6.58%p 각각 감소했다.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기업 및 가계 고정이해신이 늘어남에 따라 고정이해신비율은 0.43%로 전년동기대비 0.16%p 상승했으EK.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전년대비 39.29%p 하락한 204.9%를 기록했다.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어려운 경제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자산 건전성은 여전히 견실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3월 말 자산 규모는 전년 12월 말(85조7,008억원)보다 9,171억원(1.1%) 증가한 86조6179억원을 기록했다.

2024년 3월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CAR)은 21.10%로 2023년 초 바젤3 최종안 도입 이후 5분기 연속 20%를 상회하고 있다.

보통주자본비율(CET1)도 16.95%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감독 당국 요건을 상회하면서 충분한 손실 흡수력 및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소매금융 부문에서 차별화된 글로벌 자산관리(WM) 전략과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혁신적 상품 및 서비스로 고객과 만나고 있다.

우선 모기업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과 연계해 중요한 영업 기반 WM 비즈니스를 선진화하고 있다.

SC그룹 투자 전문인력이 도출한 투자 테마에 따라 국내에서도 차별화된 글로벌 투자전략과 최신 시장 전망을 제공하며 이 일환으로 매년 1월과 7월에 WM 고객을 위한 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 세미나를 연다.

엄격한 '집합투자상품카운슬' 운영을 통해 안정적이고 선진적인 운용사 및 상품 선정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있으며 글로벌 비중을 확대한 수익률 다각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급변하는 금융 환경 및 디지털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다양화하는 고객 스타일에 능동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업종을 넘나드는 비즈니스 제휴에도 적극적이다.

대표 사례로 제3 인터넷 전문은행 '토스뱅크'에 주주사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신용카드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현대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현대카드와는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협업을 통한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는 동시에 전략 분야인 프리미엄 부문에서 서로의 강점과 노하우를 결합한 상품과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기업금융 부문에서는 전 세계 53개 시장에 걸쳐 있는 SC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투자 및 교역을 모색하는 국내 기업고객에게 차별화한 기업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SC그룹 글로벌 거시경제 전문가들은 매년 국내 일반기업 및 금융회사 고객을 대상으로 세계 주요 지역의 경제전망 및 시장동향을 소개하는 '글로벌 리서치 브리핑(GRB)'을 개최한다.

SC제일은행은 SC그룹의 ESG 정책 방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금융 투자, 리스크 관리, 지배구조 체제를 운영·실천하고 있다.

국내 최고의 지배구조 체계와 선진적인 기업문화 구축에 힘입어 은행권 최초로 한국ESG기준원(KCGS)으로부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연속 지배구조 A+ 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연속 지배구조 우수기업 대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지배구조 명예기업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