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 제1본점 전경. 사진=DGB대구은행
DGB대구은행 제1본점 전경. 사진=DGB대구은행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이 출범한다. 대구은행은 본점을 대구광역시에 두고 활동 반경을 전국구로 넓힌다.

16일 금융위원회는 제9차 정례회의를 열고 DGB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1992년 평화은행 이후 처음으로 새 시중은행이 출범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한국씨티은행, SC제일은행에 이은 일곱 번째 시중은행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5일 은행 산업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금융당국은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방식·절차 등을 명확히 하고자 올해 1월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시 인가방식 및 절차'를 알렸다.

이에 대구은행은 2월 인가 신청서를 제출했고 은행법 제8조의 은행업 인가규정에 근거해 최초로 시중은행 전환을 마쳤다. 부대조건에 따라 본점은 대구광역시에 둔다.

금융위원회는 대구은행이 △자본금(자금조달방안) 요건 △대주주(주주구성 계획) 요건 △사업계획(내부통제체계 적정성 등) 타당성 요건 △임원 요건 △인력·영업시설·전산설비 요건 등 인가요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판단했다.

대구은행은 향후 3년간 수도권, 강원, 충청 지역에 14개 영업점을 신설할 계획이다. 올해 짓는 영업점은 5곳이다.

아울러 '지방에 본점을 둔 시중은행'으로서 대구·경북권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금융위원회가 이번 인가 심사과정에가 중점을 둔 부분은 ‘내부통제체계의 적정성’ 관련 사항이다.

지난해 다수 영업점에서 고객 동의 없이 불법으로 증권사 계좌를 만든 사건이 적발된 탓이다.

대구은행은 증권계좌 임의개설 사고에 대해서는 업무단계별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지난 2022년 공동 마련한 '국내은행 내부통제 혁신방안'은 21개 과제 중 19개를 이행 중이다.

또한 DGB금융지주 차원에서 내부통제 조직문화 정착 노력도 지속 추진할 계획으로 이와 관련 대구은행 주요 경영진은 금융위에 전사적인 쇄신과 금융사고 방지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는 "앞으로 제도 개선사항이 실효성 있게 작동되고 일선 현장까지 준법경영 문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인가 이후 내부통제 개선사항 관련 이행실태를 주기적으로 금융당국에 보고토록 하는 인가 부대조건을 부과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