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문화를 통한 균형발전을 선도한 최우수 도시로 청주시, 서귀포시, 영도구, 춘천시 등 4곳을, '올해의 문화도시'로 청주시를 선정했다.
국정 과제 '지역중심 문화균형발전'을 위해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문체부는 "문화도시심의위원회와 함께 지난 한 해 동안 문화도시 조성사업 성과를 점검한 결과 문화도시 24곳에서 253만 명이 문화를 향유했다"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1차 문화도시 7곳, 제2차 문화도시 5곳, 제3차 문화도시 6곳, 제4차 문화도시 6곳 등 총 24곳의 문화도시를 지정했고, 2023년 12월에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13곳의 조성계획을 승인했다. '대한민국 문화도시'는 1년간의 상담과 예비사업을 거쳐 최종 지정될 예정이다.
청주시는 다수의 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이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는 지역이다.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현재의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됐으며, 기록유산 분야로는 최초로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를 유치했다. 청주시기록관도 설립해 청주의 기록문화에 대한 근현대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록문화를 바탕으로 청주시는 기록문화 도시브랜드를 확립하고 기록문화 연계 산업을 창출한다는 비전으로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네기록관 운영 △시민기록관 조성 △전문 문화기획자 양성 △문화예술인 창작 여건 조성 △기록문화 신(新)경제 효과 창출 등을 핵심과제로 했다.
지난해에는 기록문화 복합공간인 동네기록관 4곳을 추가 조성해 총 21곳으로 확대하고 청년문화상점 굿쥬 2호점 개장 등으로 청주시 면적 70%에서 15분 이내 문화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기록문화주간은 공연-시장-전시를 엮은 종합축제로 성장해 지역의 대표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청주시는 공공미술사업으로 지역예술가 참여 기회를 확산하고 청년문화창작소와 청년문화상점을 통해 지역의 일자리·일거리 창출 기반도 마련했다.
문체부는 지난해 문화도시 24곳에 각각 국비 15억원을 지원했다. 올해는 총 360억원을 지원해 지역 주도로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 문화예술 교육의 장…‘부산문화회관 배움터’ 10일 개관
- ‘202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에 경기 안성시 선정
- 세종·속초 등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 승인
- 영등포 수변 문화 탐구생활…15일 네트워킹 행사
- ‘2023 문화영향평가 우수사례’ 대상에 전북 익산
- 영등포문화재단 신임 이사장에 박선규 전 문체부 차관
- 문체부, ‘2025년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 공모
- 獨 페가소스 스트링 콰르텟, 30일 마포아트센터 공연
- 문체부, 수원화성행궁 등 3D 실감데이터 4543건 무료 공개
- 국립중앙박물관·서울시립미술관 등 11곳 우수기관 선정
- 춘천문화재단, 2024 문화도시 팝업 설명회 '이번 봄엔 타볼까' 운영
- 'K-콘텐츠' 모펀드 위탁운용사 찾는다…6000억 규모 조성
- 펜타포트·산천어축제·화성문화제, 세계적 축제로 키운다
- 문체부·산업부·국토부, '문화가 있는 산업단지' 만든다
- 문체부, 암표 근절 위한 다각도 대책 마련 나선다
- 문체부, 2024 지역대표 예술단체 육성 사업 공모 실시
- '144년 공사 끝',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 2026년 완공 예정
- '이순신 장군 등장 도박게임', 문체부 "차단 조치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