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진흥위원회 로고. 사진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로고. 사진 = 영화진흥위원회

지난해 개봉한 한국 영화 중 고예산·상업영화는 남성 중심의 성비 불균형이 유지됐고, 여성 캐릭터의 양은 늘었지만 서사적 성별 고정관념을 벗어나지 못했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세계 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2023년 한국영화 성인지 결산' 보고서를 7일 발표했다. 영진위는 2017년부터 한국 영화 산업 내의 성평등 현황을 확인하고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성인지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보고서는 스크린 밖 창작 인력 통계 분석 및 스크린 안 캐릭터 분석으로 성별뿐 아니라 성 정체성, 인종, 국적 등 다양성 재현을 연구한다.

영진위에 따르면 지난해 개봉한 한국영화 183편 중 여성 비율은 감독 49명(22.8%), 제작자 77명(24.8%), 프로듀서 71명(31%), 주연 81명(40.7%), 각본가 67명(30.7%), 촬영감독 18명(8.1%)이다. 전년 대비 감독, 제작자, 각본가 여성 비율이 늘고 프로듀서, 주연, 촬영감독 비율은 줄었다.

순제작비 30억원 이상 상업 영화 35편 중에는 여성 감독 1명(2.7%), 여성 제작자 22명(23.9%), 여성 프로듀서 13명(23.6%), 여성 주연 9명(25.7%), 여성 각본가 12명(21.8%)이다. 전년 대비 제작자, 프로듀서, 주연에서 여성 비율이 늘고 감독, 각본가 수가 줄었다. 여성 촬영 감독은 0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지난해 공개된 OTT 오리지널 영화 7편 중에는 여성 감독과 촬영감독이 0명이었고, 제작자는 4명(50%), 프로듀서 3명(37.5%), 주연 5명(83.3%), 각본가 1명(16.7%)이 여성이었다. 전년 대비 여성 감독과 각본가 수가 줄었고, 주연은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모든 직종의 성비 불균형은 완화됐다. 그러나 순제작비 30억원 이상 상업 영화에서는 특히 감독, 프로듀서의 빈도와 비율이 줄고 촬영감독은 0명에 그치는 등 불균형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팬데믹으로 개봉이 늦춰졌던 대작들이 연이어 개봉하며 고예산·남성 중심 상업영화가 주요 흥행작을 차지했는데, 최근 몇 년 간 독립·예술 영화에서 여성 감독의 활약이 돋보이는 것에 비해 고예산·상업영화에 참여하는 인력은 성비 불균형이 계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성 인지 캐릭터 분석을 위한 벡델테스트 및 스테레오 타입 테스트 결과, 흥행 30위 작품 중 벡델테스트 통과 작품과 스테레오타입 테스트에 해당하는 작품 편수가 모두 늘었다.

벡델테스트는 1985년 미국의 여성 만화가 엘리슨 벡델이 고안한 성평등 테스트다. 여성 스테레오타입 테스트는 영화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의 전형성을 파악하는 7개 항목에 대한 테스트다. 두 테스트 모두 해당되는 작품이 늘어난 것은 여성 캐릭터들이 양적으로는 증가했지만 서사적으로 성별 고정관념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한국 영화의 다양성 테스트(성소수자, 장애인, 다양한 인종·종족·국가 등을 대상으로 등장·주인공·정형화 및 편견 도전 여부 등을 기준으로 채점하는 테스트) 결과 수치는 2022년과 비슷했지만 지난 5년 평균치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국 영화계는 2016년 이후 창작 인력과 서사 성별 불균형은 다소 개선되는 듯 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퇴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영화계 전반적 투자가 축소되고 제작이 위축되고 있어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