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B금융지주는 2023년 당기순이익(지배지분) 5860억원을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2.5% 감소한 수치다. 다만 선제적 충당금 적립과 민생 금융지원 등 비경상적 요인을 고려하면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이다.
JB금융지주는 주요 경영지표 부문에서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 12.1%와 총자산이익률(ROA) 0.99%를 기록해 동일업종 최고 수준 수익성을 유지했다.
특히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이자이익 증가와 지속적인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전년대비 1.6% 포인트 개선된 38.3%를 기록해 사상 최저 수준에서 안정적 관리에 방점을 찍었다.
보통주자본비율(잠정)은 전년대비 0.78% 포인트 상승한 12.17%를 기록했으며 개선된 자본비율을 기반으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JB금융지주 관계자는 설명했다.
한편 이날 JB금융지주 이사회는 보통주 1주당 현금 735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했다. 지난해 실시한 중간배당 120원을 감안한 배당성향은 28% 수준이다. 이와 함께 2023년 신탁계약을 통해 매입한 자사주 가운데 200억원 규모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그룹 계열사들은 부동산 경기 위축 등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경영 환경에서도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2023년 각각 2045억원과 240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0.3%, 6.8% 줄어든 금액으로 민생금융 지원액을 4분기 처리한 탓이다.
같은 기간 JB우리캐피탈도 전년대비 5.1% 증가한 1875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해 지주의 견고한 실적을 견인했다. JB자산운용은 5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고 JB인베스트먼트는 37억원의 실적을 시현했다.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전년대비 14.8% 증가한 341억원의 적을 달성했다.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은 "올해도 대내외 경제여건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JB금융그룹은 미래예측에 기반한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경영과제로 삼고 수익성 중심의 내실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전북은행, 총 190억 규모 민생금융 지원
- 전북은행, 2024년 1분기 경영전략회의 개최
- BNK·DGB·JB금융지주, 올해 '훨훨'
- JB금융, 한패스 2대주주 된다…전략적 투자계약
- 전북은행, 핀테크 기업 ‘니움(Nium)’과 외국인 금융편 맞손
- 광주은행, 펀드 판매사 A등급…은행권 1위
- 실적 가른 금융지주 '충당금'…올해 전망은
- 백종일 전북은행장, 고향사랑기부제 2년 연속 500만원 기부
- 광주은행, 광주 북구청과 포용금융 이차보전 지원 사업 협약
- 전주 JB문화공간서 클래식 앙상블 '트리오 솔(sole)' 콘서트 성료
- JB금융지주 이사회 확대...다양성‧전문성 강화
- 하나證 "JB금융, 배당 여력 적고 자사주 소각도 제한"
- JB금융 "얼라인파트너스, 이사진 교체 시도 우려"
- JB금융 김기홍 회장, 경영진과 자사주 4만5천주 매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