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사진=홍인택 기자
이복현 금감원장, 사진=홍인택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사들을 향해 부실 PF 관련 손실 인식을 명확히하고,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충당금 적립 실태 점검에 있어서도 훨씬 강도 높은 점검을 시행할 것이라고 엄중히 경고하고 나섰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신년 간담회를 마친 후 충당금 적립 기준과 관련해 "엄청나게 강한 강도로, 건설사나 금융사에 노이즈가 있을 것들을 감내하고라도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원장은 간담회에 앞서 "보유 PF 사업장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분석을 통해 부실 사업장은 신속하고 과감하게 정리하고, 지난해 12월 결산 시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단기적인 이익 목표에 연연해 PF 예상 손실을 느슨하게 인식하는 잘못된 행태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이 원장은 23일 임원 회의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간담회를 마친 이 원장은 "(충당금 적립 점검은)말한 것보다 훨씬 강한 강도로 진행될 것"이라며 "이전에 통상적으로 얘기한 것처럼 들으면 안된다. 불편하고 힘들더라고 새살도 돋아나고 꺼낼 수 있는 자본을 생산적인 곳에 투자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 금융사나 건설사에서 어려움이 있더라도 그건 금융당국에서 감내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기획재정부에서는 PF 시행사의 총사업자금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최소 20%가 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행사의 자기자본을 늘려 금리가 오르거나 부동산 경기가 침체됐을 때 완충 장치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행 PF 시행사의 총사업자금 대비 자기자본비율은 5~10% 수준이다. 

이 원장은 "기재부와 정밀하게 협의한 건 아니지만, 방향성은 같다"라면서도 "20%가 아니라 100%에 가까울 정도로 자기책임이 될 수 있는 상태에서 부동산 개발 시행을 하지 않는 것은 앞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부동산PF 정리와 향후 바람직한 부동산 시장 정립 위해 금융권에서 할 수 있는 건 강도높게 할 생각"이라며 "기재부랑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잘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