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브로커와 병원이 연계된 조직형 보험사기에 기획 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17일 김준환 민생금융 담당 부원장보 주재로 보험사의 보험사기 대응조직 담당 임원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보험사기 대응 계획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질병 치료를 가장한 성형·미용시술 등에 대해서도 기획조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보험사들에 보험사기 조사업무 전반에 대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제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보험사기에 연루된 설계사 징계를 강화하고 징계 정보를 업계가 공유해 해당 설계사는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강화하라고도 요청했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은 수사당국 및 보건당국과 공조를 강화해 효율적인 보험사기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보험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준환 부원장보는 "보험사기는 보험료 인상 등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하는 대표적 민생 침해 금융 범죄"이라며 "보험업계가 협력해 효율적 보험사기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조직화·대형화하는 보험사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보험사기와 헤어질 결심…금감원-경찰청-건강보험공단 힘 모은다
- 자동차 보험사기 피해자 2633명…12억 돌려받았다
- 보험사기와 헤어질 결심…'2023년 보험사기 근절 홍보캠페인' 실시
- 금감원 "치아 보험사기 주의하세요"
- 금감원 "4세대 실손보험금 비급여 간편 조회 가능해진다"
- 보험약관 대출 70조 돌파…역대 최대
- 금감원, 보험사기 신고 특별포상금 5천만원 걸었다
- 보험사기 얼마나 심하길래…금감원 '칼'
- 금감원, 작년 고의사고 보험사기 155명 적발…"의심되면 신고해야"
- 금감원,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 1조1천억…"렌터카 고의사고 대응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