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과 보험업계가 병원과 브로커가 연계된 조직적 보험사기에 특별포상금 5000만원을 내걸고 내달부터 3개월간 특별신고기간을 운영한다. 제보된 사건은 혐의 내용을 분석해 기획 조사에 착수한다.
29일 금융감독원과 생명·손해보험협회는 다음달 1일부터 4월 30일까지를 조직형 보험사기 특별신고기간으로 하고 보험사기 혐의 병원과 브로커를 제보하면 최대 5000만원의 특별보상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신고 대상은 허위 입원, 허위 진단, 미용·성형 시술 이후 실손보험 허위청구 관련 보험사기 혐의가 있는 병원과 브로커다.
특별포상금은 신고인이 병원 관계자인 경우 5000만원, 브로커인 경우 3000만원, 병원 이용자인 경우 1000만원을 각각 지급한다.
신고 후 경찰 수사 진행 시 구체적 물증을 제시하거나, 참고인 진술 등 적극적 수사 협조가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서다. 지급기준 해당 여부는 생명·손해보협회가 심사한다.
같은 병원에 대해 2인 이상 신고 시 특별포상금액을 분할 지급한다. 신고는 금융감독원 보험사기 신고센터와 각 보험사 보험사기 신고센터로 하면 된다.
신고가 들어오면 금감원과 보험회사들이 신고 내용을 분석해 경찰에 수사 의뢰를 한다. 신고 사건이 보험사기 혐의로 검찰로 송치될 경우 특별포상금 외에 이미 운영 중인 일반포상금도 별도로 지급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브로커와 병원이 연계된 조직형 보험사기는 조직적으로 은밀하게 진행되므로 적발을 위해 내부자 제보가 중요하다"며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제안을 받고 구체적 물증을 가진 병원 이용자들의 적극적 제보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 금감원, 단기납 종신보험 경쟁에 생보사 현장점검
- 금감원 "4세대 실손보험금 비급여 간편 조회 가능해진다"
- 금감원, 조직형 보험사기 뿌리뽑는다
- 금감원, 보험사에 "역대급 실적 IFRS17 첫 결산…과도한 배당 자제 당부"
- 보험사기 얼마나 심하길래…금감원 '칼'
- 금감원 "사업자 신용카드 할부거래시 항변권 행사 제한 유의하세요"
- 금감원, 작년 고의사고 보험사기 155명 적발…"의심되면 신고해야"
- 금융당국, 2금융권 부동산 PF 충당금 적립 현장 점검 나서
- 금감원 "보험 계약시 과거병력 숨기면 보험금 안준다"
- 금감원,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 1조1천억…"렌터카 고의사고 대응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