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감원장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원장이 태영건설 워크아웃 건에 대해 "당국의 조율 역할을 다해나가겠다"면서도 채무자와 대주주의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이 원칙임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9일 은행연합회에서 7개 금융지주회사(KB·신한·농협·우리·하나·한국투자·메리츠) 회장 및 산업·기업은행장과 가진 2024년 신년 금융현안 간담회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과 관련해 “채무자 측이 회사를 살리려는 의지가 확인될 경우 채무자의 직접 채무뿐만 아니라 직간접 채무, 이해관계자에 대한 지원 등도 폭넓게 고려하는 것이 워크아웃 본래 취지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태영건설을 둘러싼 금융시장 우려에 관해 "워크아웃 과정에서 수분양자나 협력업체가 큰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고 시장 안정성과 건전성이 확고히 유지되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룹 내 일부 계열사의 워크아웃 과정에서 모회사를 포함한 그룹 전체의 유동성에 문제가 생기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피할 수 있도록 워크아웃 신청기업뿐만 아니라 모기업 등 연관회사의 유동성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감독 당국도 채무자와 채권단 합의에 기초한 워크아웃 추진을 뒷받침하면서 복잡한 이해관계가 원할이 조정될 수 있도록 조율 역할을 다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채무자와 대주주의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이 기본 전제임을 재확인하며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이해관계자 고통 분담이 수반되는 부실기업 구조조정은 자기책임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할 것"이라며 "채무자와 채권단 중심으로 상호 신뢰와 양보를 바탕으로 합의해 나가는 것이 원칙"이라며 “채권단은 워크아웃 신청 기업에 대한 금융채권을 유예해 유동성 여유를 주고, 채무자는 상거래채무와 같은 비금융 채무상환에 필요한 운영자금을 부담하는 것이 기본 구조인 만큼, 자력이 있는 대주주가 워크아웃 중 필요한 자금을 최대한 지원한다는 상호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채무자와 대주주는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제시해 워크아웃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는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요청을 주주 유한책임 원칙이나 시장원칙에 반한다고 보기는 곤란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지주회사들을 향해서는 선제적인 손실흡수 능력을 갖출 것을 당부했다. 

그는 "향후 취약기업의 구조조정이 지연돼 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채권금융사가 보다 엄중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구조조정 노력을 해야 한다"며 "만약 향후 1~2년 내에 다시 저금리 환경에 기반한 부동산 호황이 올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를 근거로 예상되는 손실인식을 지연하고 구조조정을 미루기만 하는 금융사가 있다면 감독당국은 좌시하지 않고 엄중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각 업권별로 현재의 충당금 적립 수준과 향후 예상손실 규모 등을 감안해 충분한 수준의 손실흡수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경각심을 가지고, 신속하게 충당금을 적립해야 할 것"이라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구조조정 기업의 협력업체라는 이유만으로 여신거래 상의 불이익을 입지 않도록 지원하는 한편, 최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영세 중소건설사에 대해서도 유동성 애로가 악화되지 않도록 상생금융 차원에서 적극적인 배려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