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사진=연합뉴스
태영건설, 사진=연합뉴스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개시되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금융업계에서는 '이제 시작'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워크아웃이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2일 산업은행에 따르면 태영건설 워크아웃에 채권단 96.1%가 동의하면서 워크아웃이 개시됐다. 산업은행을 포함한 채권단은 태영건설 임직원과 태영그룹에 "뼈를깎는 노력을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채권자협의회는 4월11일까지 모든 금융채권에 대해 상환을 유예하고, 외부 전문기관을 선정해 태영건설에 대한 자산부채실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개선계획이 결의되면 5월11일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을 위해 채권자협의회와 태영건설이 특별약정(MOU)을 체결하게 된다.

워크아웃 개시로 태영건설과 협력사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다는 평가다. 

그러나 금융업계에서는 '이제 시작'이라는 시선으로 워크아웃을 바라보고 있다. 워크아웃 과정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고비'가 남아있어서다. 금융업계와 건설업계는 △실사 과정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우발채무가 있을 경우 △태영건설이 기존에 제시한 자구계획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워크아웃이 중단될 것으로 보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워크아웃 중단 가능성① '우발채무 확대'


태영그룹은 지난 3일 채권단 설명회에서 우발채무가 2조5000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TY홀딩스에 따르면 현재 태영건설의 보증채무 9조5044억원 가운데 우발채무는 2조5259억원으로, 브릿지 보증(1조2193억원)과 PF 분양률 75% 미만 보증(1조3066억원)으로 구성돼있다. 나머지 6조9785억원은 △책임준공 확약(3조5570억원) △수분양자 중도금 보증(1조3142억원) △본PF 분양률 75% 이상 보증(1조769억원) △SOC사업보증(1조304억원)으로 무위험 보증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향후 실사 과정에서 우발채무가 새롭게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태영그룹의 우발채무 기준인 'PF 분양률 75%' 기준에 걸쳐있는 사업장의 경우 해석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경남 김해 소재의 사업장이 75% 분양률을 겨우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우발채무 규모가 더 늘어난다면 태영그룹이 현재 내놓은 자구안보다 강도 높은 추가 자구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 새롭게 발견되는 우발채무 규모에 따라, 혹은 태영그룹의 추가 자구안이 채권자협의회를 설득하지 못한다면 워크아웃 개시 결정이 철회될 수 있다. 


워크아웃 중단 가능성② '신뢰 훼손'


태영건설이 기존에 제시한 자구계획을 지키지 않았을 때도 워크아웃 중단 가능성이 있다. 태영그룹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1549억원)의 태영건설 지원 △에코비트 매각 추진 및 매각대금의 태영건설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제공 및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지분 62.5% 담보 제공 등 4가지 자구계획과 함께 티와이홀딩스 지분과 티와이홀딩스가 보유한 SBS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추가자구안을 내놓았다. 

다만, SBS지분을 담보로 제공하면서 '필요시'라는 단서 조건을 달았다. '필요시'에 대한 채권자협의회와 태영그룹의 시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태영그룹을 향한 신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서 태영그룹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이 TY홀딩스 연대보증채무 상환에 투입되거나, 대주주 사재출연에 소극적 대응하는 등 워크아웃 조건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가 비판을 받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채무자와 대주주는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을 제시해 워크아웃 추진 과정에서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는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다"며 "워크아웃은 채무자와 채권단이 중심이 돼 상호 신뢰와 양보를 바탕으로 합의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은행과 채권자협의회는 "워크아웃 개시를 결의한 것은 계열주와 태영그룹이 자구계획과 책임이행 방안을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행하겠다고 대국민 앞에 약속한 것을 신뢰하기 때문"이라며 "협의회는 계열주와 태영그룹이 자구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할 것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에코비트와 블루원 매각이 제 값을 못받을 가능성 △사업성이 부족한 브릿지론 정리 과정에서 채권단 내 순위별 이해관계 충돌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