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저축은행들이 962억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이익이 감소하고 연체율과 부실 우려 여신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이 962억원 당기순손실을 내며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엔 8956억원 흑자를 냈으나 올해 9918억원 감소했다.
예대금리차 축소 등으로 이자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대손이용이 크게 증가한 요인이 크다. 다만 2분기 적자 규모는 434억원으로, 1분기(528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총여신 연체율은 5.33%로 지난해 말 대비 1.92%포인트 상승했으나, 2분기 상승폭(0.27%포인트)은 1분기(1.65%포인트) 대비 크게 둔화됐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5.76%, 가계대출 연체율은 5.12%로, 지난해 말 대비 각각 2.93%포인트, 0.38%포인트 상승했으나 이또한 1분기(2.24%포인트) 대비 크게 둔화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5.12%로 지난해 말 대비 0.38%포인트 상승하다가 2분기 중 하락세로 전환했다.
올해 6월 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61%로 지난해 말보다 1.53%포인트 상승했으나, 2분기 상승폭은 1분기와 비교해 둔화됐다.
대손충당금 정립액이 크게 상승했음에도 고정이하여신 증가 규모가 이를 상회함에 따라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비율이 95.4%로 지난해 말 대비 17.9%포인 하락했다.
다만 요적립액 대비 충당적립률은 규제비율(100%)을 여전히 상회하는 수준이다.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15%로 지난해 말 대비 1%포인트 상승해, 규제비율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자산 1조원 이상은 8%, 자산 1조원 미만은 7%를 유지할 것이 권고된다.
총자산은 134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3.1%(4조2000억원) 감소했다.
총 대출은 109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4.9%(5조7000억원( 감소했다.
기업대출은 65조1000억원, 가계대출은 39조9000억원을 달성했으며, 각각 7.6%, 0.8% 감소했다.
자기자본은 15조원으로 지난해 말대비 3.6%(5000억원)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저축은행의 영업 환경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저축은행의 건전성 제고 등을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이 부실채권 매각 확대, 자체 채무 재조정 활성화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유도하면서 저축은행의 위기상확 분석을 실시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충당금 추가 적립 및 자본확충으로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