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대규모 환매 사태를 일으킨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자산운용 등 3개 운용사에 대해 추가검사를 실시한 결과 국회의원 등 유력 인사에 대한 환매 특혜와 수천억원에 달하는 횡령을 추가 적발했다.
검사 출신 이복현 금감원장이 전 정권에서 '봐주기 의혹'이 불거졌던 3대 펀드 사건을 정조준하면서 사태가 새 국면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24일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자산운용 등 3개 운용사에 대한 추가 검사를 실시한 결과, 특정 인사를 위한 펀드 돌려막기, 펀드 자금 횡령, 임직원 사익 추구 등 새로운 위법 혐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펀드 자금이 투자된 회사들에서 횡령·배임 등도 추가로 밝혀냈다. 금감원은 이 내용들을 지난 5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검찰에 통보한 상태다.
금감원은 재검사 실시 배경에 "언론 등에서 제기한 각종 새로운 의혹을 규명하고 투자자 피해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건별로 살펴보면 라임 사태와 관련해서는 특정 펀드 수익자를 위한 펀드돌려막기와 2000억원대 횡령 혐의 등이 새로 적발됐다.
라임자산운용은 대규모 환매 중단을 선언한 2019년 10월 직전 다른 펀드 자금과 운용사 고유 자금을 이용해 일부 유력인사들에게 환매를 해줬다. 다선 국회의원 A씨(2억원), B 상장사(50억원), C중앙회(200억원) 등이 환매 중단 직전 투자금을 돌려받았다.
라임 펀드 투자처였던 5개 회사에서는 2000억원 규모의 횡령 혐의를 적발했다.
이들 회사 대표와 임원들은 투자금을 필리핀 소재 리조트를 인수하는 데 쓰거나 개인 계좌로 입금했다. 캄보디아 개발 사업이라는 허위 명목으로 회삿돈을 빼돌리고 허위 매매계약서를 작성해 실제 계약 내용과의 차액을 편취하기도 했다
옵티머스 펀드에서도 횡령과 부정거래 행위 등이 추가로 적발됐다.
공공기관의 기금운용본부장 D씨는 전체 기금의 약 37%에 달하는 1060억원을 옵티머스 펀드에 투자하면서 옵티머스자산운용으로부터 1000만원을 수수했다. D씨 자녀도 옵티머스자산운용 관계사로부터 급여를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옵티머스 펀드 자금이 투자된 특수목적법인(SPC)에서도 펀드자금 등 15억원을 임의로 인출했으며, 이중 12원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혐의가 발견됐다.
옵티머스 전 임원들의 펀드 운용 비리 등도 새롭게 드러났다.
디스커버리 펀드에서도 펀드를 돌려막고 임직원들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사적 이익을 취득하는 등 새 위법혐의가 밝혀졌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9년 2월 투자처인 해외 SPC 자금 부족으로 만기가 다가온 3개 펀드의 상환이 어렵게 되자 또 다른 해외 SPC에 투자한 펀드 자금으로 '돌려막기'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임직원 4명은 펀드 운용 과정에서 알게 된 부동산개발 인허가 사항 등 직무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4600만원가량 이익을 얻기도 했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 결과와 관련해 사회적 관심도가 큰 점을 감안해 자본시장법 위반 사항에 대해 제재 절차를 신속히 마무리하고 수사 통보 사항에 대해서는 검찰과 협조해 엄정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금감원이 대규모 횡령 등 추가 혐의를 통보해온 만큼 자금 용처 등에 대한 수사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정·관계 로비 의혹 등으로 번져 정치권으로까지 파장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금감원은 운용사의 위법 행위 등 새로운 사실관계가 확인됨에 따라 투자자 구제를 위한 분쟁조정도 실시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라임 무역금융 펀드와 옵티머스, 헤리티지 펀드 등 3개 펀드에 대해서만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를 적용해 투자 원금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다른 펀드에 대해서는 판매사 불완전판매 정도에 따라 손해액 40~80% 수준의 손해배상이 결정됐는데, 디스커버리 등 다른 펀드에도 '계약 취소' 법리 적용이 가능한지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 금감원 퇴직자의 금융권 재취업 증가…1위는 '김앤장'
- '부실' 낙인찍힌 MG손해보험-KDB생명, 인수 어디까지 왔나
- 경남은행 직원, 562억원 횡령…'불법 차명거래'
- 금융당국, 연이은 금융사고에 "은행장이 내부통제 직접 확인하라"
- "펀드 판매사 추가검사"...당혹감 커진 기업은행
- 저축은행, 상반기 순손실 962억원…적자 전환
- 상반기 보험사 순익 63%↑… 새 회계 제도 영향 커
- ‘라임 펀드’ 재검사에, 증권사 CEO 후폭풍
- 금감원 "치아 보험사기 주의하세요"
- 라임 사태, 끝까지 간다…이복현 "환매, 명백히 불법"
- 금감원, 불법 공매도 근절 위해 외국계 증권사 소집
- BNP파리바·HSBC, 국내주식 560억 불법 공매도…최대 과징금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