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묵매도'. 사진 제공=국립광주박물관
김진규 '묵매도'. 사진 제공=국립광주박물관

조선시대 최대 서화 컬렉션 ‘석농화원(石農畫苑)’ 기록을 사실로 확인시켜주는 작품을 비롯한 조선후기 미공개 회화들이 미국에서 발견, 국내로 돌아왔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지난 3월28일 조선 후기 회화 4건을 기증받았다. 이 작품들은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게일 허(Gail Ellis Huh) 여사가 시아버지인 故 허민수(1897~1972)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미국사무소의 조사와 교섭을 통해 허민수 선생의 연고지인 국립광주박물관의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기증 서화는 총 4건으로, 김진규(1658∼1716)의 ‘묵매도’를 비롯해 신명연(1808∼?)의 ‘동파입극도’, 서화가인 소치 허련(1808~1893)의 ‘송도 대련’과 ‘천강산수도병풍’ 등 18~19세기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미공개 작품들이 포함되어 주목된다. 김진규의 ‘묵매도’는 지난 2013년 새롭게 알려진 ‘석농화원’ 필사본 권1에 제목과 그림의 평만 전해오던 것으로서 이번에 실제 작품이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하나 주목할 작품은 조선 말기 문인화가 신명연의 ‘동파입극도’이다. ‘동파입극도’는 중국 송대 문인 동파 소식(1037∼1101)이 귀양 시절 삿갓과 나막신 차림으로 비를 피하는 처연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화사한 화훼도로 유명한 신명연의 희귀한 인물화라는 점에서 19세기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기증자 고 허민수 선생은 전남 진도 출신의 은행가이자, 호남화단의 거장 소치 허련(1808∼1893) 가문의 후손이다. 이번 기증품 중에는 소치 허련의 작품 2점이 포함되어 있다. 힘차게 뻗은 소나무를 그린 ‘송도 대련’ 화면 상단에는 허련이 적은 제시(題詩)와 낙관이 남아있으며, 그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8폭으로 된 ‘천강산수도병풍’은 전형적인 소치 화풍의 산수도이다. 특히 병풍 뒷면에는 허민수 선생과 가까운 친척인 서화가 의재 허백련(1891∼1977)이 쓴 표제가 남아있어, 두 사람의 깊은 인연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번 기증은 2022년 5월 소장자 게일 허 여사가 고인이 된 남편 허경모 씨가 시아버지 허민수 선생에게 물려받은 허련의 그림을 정리하기 위해, 이웃에 살던 한국인 가족에게 도움을 청하며 시작됐다. 이후 워싱턴한국문화원을 통해 연락을 받은 당시 재단 미국사무소장은 소장자의 자택에서 허련 작품 감정 및 자문을 하던 중 1층 복도 구석에 걸려있던 김진규의 ‘묵매도’를 발견했고, 이후 조사 과정에서 신명연의 ‘동파입극도’를 추가로 확인했다.

재단 측으로부터 소장품들의 회화사적 중요성과 환수의 필요성을 전해 들은 게일 허 여사는 흔쾌히 한국에 기증할 뜻을 밝혔고, 시아버지 허민수 선생의 고향인 진도와 가까운 국립광주박물관에 시아버지의 이름으로 기증할 것을 결심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에서 개최된 국립광주박물관 기증서 전달식에 참석한 게일 허 여사는 “시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작품들이 가장 잘 향유될 수 있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기증 소감을 밝혔다.

키워드
#미술 #전시 #유물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