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문화재연구원이 무기질 문화유산의 과학적 분석과 활용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무기질 문화유산 분석의 이해’를 발간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는 토기, 기와, 석조, 금속, 회화, 안료, 유리, 옥기, 흑요석, 석회 같은 다양한 무기질 문화유산을 과학적으로 분석 연구하고 있으며, 이번에 발간한 책자에는 연구원이 그동안 수행했던 다양한 과학적 분석결과와 국내외의 전문적인 연구사례, 문화유산 현장에 새로 도입된 첨단 분석기술과 기법들을 담았다.
이번 책자에서는 그동안 군사, 산림, 농업 연구에 주로 활용되어 오다 최근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분야에 새롭게 도입된 초분광 영상 분석 기술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초분광 영상 분석기술은 가시광선과 적외선 등을 활용한 초분광 카메라로 비접촉·비파괴 분석을 할 수 있어서 석조문화유산 표면의 오염물과 생물 오염 현황을 장기적으로 점검하는 데 활용되는 첨단 기술이다.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과 같이 규모가 커 직접 조사가 어려운 문화유산의 점검이나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국보)와 같은 회화문화유산의 밑그림과 묵서를 조사하고 사용된 재료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 기술이다.
이외에도 조선시대에 제작된 대형불화의 보존상태를 정밀 조사하고 안료, 염료 등 채색기법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비파괴 분석기법을 도입한 사례를 비롯해 적색토기의 제작기법, 청동기 산지추정, 고대유리 분석, 옥기와 흑요석의 산지해석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수록됐다. 책자 원문은 문화재청 누리집과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지식e음에 공개된다.
- 세종서 백제 한성기 거대 고분 5기 발견
- 궁궐·왕릉에 봄꽃 활짝…나들이하기 좋은 명소 6선
- 누각에서 즐기는 경복궁 전경…국보 경회루 특별관람
-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 상설전시 해설영상 공개
- 전국 수문장 한 자리에…문화재청, 임명의식 특별행사
- 조선왕실 태교는 어땠을까…고궁박물관, 체험 교육 진행
- 봄을 품은 낙선재…창덕궁·덕수궁, 특별 관람 프로 운영
- 익산서 백제시대 저온 저장고 발견…24일 현장공개
- 문화재청-반크, 디지털 문화유산 홍보대사 5기 출범
- 3D로 만나는 영릉…세종대왕역사문화관, 실감영상 공개
- 윷놀이·해녀 등 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지원 사업 선정
- 천마총 발굴 50년…특별전·학술대회 등 12개 기념 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4개 기관과 가속질량분석기 연구 협력 맞손
- 日 반출됐던 국보 ‘원주 지광국사탑’, 112년 만에 귀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