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사박물관이 2020년 ‘서울역사아카이브’의 공공저작물 제1유형(자유이용조건) 개방 후, 작년 한 해만 3만6869건을 다운로드하는 등 시민들의 아카이브 이용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서울미래유산기록·서울발굴기록의 박물관 조사연구자료와 근현대서울사진·서울시정사진·서울지도의 박물관 소장자료로, 총 6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담는 기억 저장소로서 현재 총 2만6131건의 자료가 망라되어 공개되고 있다.
박물관에서 조사 연구한 서울학 성과들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2007년부터 시작된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는 도시화로 급변하고 있는 서울의 공간과 역사, 사람들의 삶을 기록한 연구 성과이며, '서울미래유산기록'은 급속히 사라져가는 노포(老鋪)와 전통산업을 심층 조사한 결과물로, 올해는 2022년에 조사한 ‘망우’, ‘천호’, ‘서울의 이용원’의 원 자료들을 새롭게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시정사진'은 서울시 언론담당관에서 이관받은 1957년부터 1999년까지의 시정사진 기록이다. 서울시만의 고유한 아카이브로 3657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대표 유물 컬렉션을 바탕으로 하는 '근현대서울사진'과 '서울지도'는 주제별, 시대별 등으로 분류하여 6000여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박물관 생산·수집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대시민 지식공유를 위해 2014년 박물관 누리집에 처음 공개했고, 2020년 공공누리 제1유형 자유이용조건으로 아카이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서울학 연구의 지식저장고로서 공공성을 강화해왔다.
비상업적·상업적 이용이 모두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대상과 매체로 활용이 다변화되는 추세이다. 서울 역사에 관한 폭넓은 자료들을 망라하고 있는 만큼 대중미디어, 전시, 연구, 교육, 출판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학 연구의 요람으로서 전문가들의 서울 역사 연구를 지원하는 한편, 일반 시민들이 더욱 쉽고 재밌게 찾을 수 있는 친근한 아카이브가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서울역사박물관 20년 발자취 한눈에…전자책 발간
- AR로 만나는 조선시대 종로…공평도시유적전시관 체험 서비스
- 100년 전 외국인 선교사들은 서울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정부 수립 스토리·소장품 미디어아트로 공개
- 전쟁기념관, 임진왜란 발발 430주년 기획전 개막
- 미국 평화봉사단, 40년만에 한국 방문
- 도심에서 만나는 체험 공간…'광화시대', 신규 콘텐츠 공개
- 유리건판으로 보는 100년 전 기록…국립중앙박물관, '익산 편' 공개
- 근대 각석의 흔적을 찾아…인천시립박물관, 학술 보고서 발간
- 화성행차도, 디지털로 만난다…국립대구박물관, 21일 공개
- 비발디·치케티의 도시, 베네치아로 떠나볼까…서울역사박물관 18일 공연
- G밸리산업박물관, '서서울 문화 네트워크' 출범
-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콘텐츠 강화…'이건희 컬렉션' 해외 순회전"
- 해설 곁들인 클래식 음악회…서울역사박물관, '봄의 찬미' 개최
- 대구 향촌동 역사, 서울역사박물관서 만난다…협업 전시
- 시민이 뽑은 ‘미래유산’은?…부산시 설문조사 실시
- “고종황제부터 백정까지 참여”…‘서울의 국채보상운동’ 발간
- ‘경희궁 이야기돌’과 함께 역사 산책 떠나요
- 용두산공원의 추억 찾아요…부산미래유산 자료 시민공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