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서울역사박물관
사진 제공=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이 2020년 ‘서울역사아카이브’의 공공저작물 제1유형(자유이용조건) 개방 후, 작년 한 해만 3만6869건을 다운로드하는 등 시민들의 아카이브 이용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서울미래유산기록·서울발굴기록의 박물관 조사연구자료와 근현대서울사진·서울시정사진·서울지도의 박물관 소장자료로, 총 6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담는 기억 저장소로서 현재 총 2만6131건의 자료가 망라되어 공개되고 있다.

박물관에서 조사 연구한 서울학 성과들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2007년부터 시작된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는 도시화로 급변하고 있는 서울의 공간과 역사, 사람들의 삶을 기록한 연구 성과이며, '서울미래유산기록'은 급속히 사라져가는 노포(老鋪)와 전통산업을 심층 조사한 결과물로, 올해는 2022년에 조사한 ‘망우’, ‘천호’, ‘서울의 이용원’의 원 자료들을 새롭게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시정사진'은 서울시 언론담당관에서 이관받은 1957년부터 1999년까지의 시정사진 기록이다. 서울시만의 고유한 아카이브로 3657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대표 유물 컬렉션을 바탕으로 하는 '근현대서울사진'과 '서울지도'는 주제별, 시대별 등으로 분류하여 6000여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역사아카이브는 박물관 생산·수집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대시민 지식공유를 위해 2014년 박물관 누리집에 처음 공개했고, 2020년 공공누리 제1유형 자유이용조건으로 아카이브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서울학 연구의 지식저장고로서 공공성을 강화해왔다. 

비상업적·상업적 이용이 모두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대상과 매체로 활용이 다변화되는 추세이다. 서울 역사에 관한 폭넓은 자료들을 망라하고 있는 만큼 대중미디어, 전시, 연구, 교육, 출판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학 연구의 요람으로서 전문가들의 서울 역사 연구를 지원하는 한편, 일반 시민들이 더욱 쉽고 재밌게 찾을 수 있는 친근한 아카이브가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박물관 #역사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