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반도체 사업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검증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과정평가는 원료의 채취와 가공, 제품의 제조·운송·사용·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투입되는 물질과 에너지,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산출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이 중 반도체 제조사가 통제 가능한 범위인 원재료 수급 단계부터 제품의 생산·패키징·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국제표준에 의거해 전과정평가 체계를 완성했으며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 기관인 DNV 검증도 마쳤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전과정평가를 국제표준에 맞게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산출된 탄소배출량 신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탄소배출량 수치는 반도체와 반도체가 사용되는 제품·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기준이 된다. 저탄소 반도체 개발을 앞당기고 배출량 감축을 확인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어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한국·미국·중국에 위치한 글로벌 반도체 생산과 패키징 라인에서 만들어지는 전 제품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운영하고, 나아가 반도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탄소배출뿐 아니라 물과 자원 등으로 확대해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수립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EHS 센터장 송두근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부터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주요 제품을 중심으로 탄소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활동을 강화해왔다”며 “향후 전과정평가 체계를 기반으로 반도체 관련 환경 정보 공개에 투명성을 높이고 고객사들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동관 한화 부회장, 다보스포럼서 ‘그린에너지 허브’ 구축 글로벌 인맥 확대
- 삼성물산, 2050 탄소중립 박차…버려지는 안전모 ‘사원증 케이스’로 제작
- 현대모비스, CEO 타운홀 미팅서 신규 브랜드 슬로건 공개
- UAE·사우디에 부는 ‘친환경·최첨단’ 바람, 함께하는 韓 재계
- SK, UAE 국부펀드와 기후변화 위기에 공동 협력
- 한화솔루션, 북미 태양광 단지 ‘솔라 허브’ 구축에 3.2조 투자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맞춤형 경험으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 비전 제시
- [2023 신년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도전으로 신뢰를, 변화 통한 도약의 해”
- [2023 신년사] 최정우 포스코 회장, “7대 핵심사업별 성장전략 실행 박차”
- 삼성전자,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4조3100억원…전년比 69% 감소
- 삼성전자, 사상 매출 첫 300조에도 웃지 못했다…반도체 실적 쇼크
- 삼성전자 '데이코 키친 씨어터', 美주방욕실협회 '2023 혁신 쇼룸상' 수상
-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 전격 공개
- 삼성전자, '갤럭시 북3' 시리즈 사전 판매 실시
- '취임 100일' 이재용 삼성 회장, 성과와 과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