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는데 협력키로 했다. 기후변화 위기는 국가 문제를 넘어 민간기업 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새로운 성장기회 발굴을 위한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고 보고 전방위적인 노력을 함께 해 나가기로 했다.
SK는 15일(현지시간) UAE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무바달라와 ‘자발적 탄소시장(VCM) 아시아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회장을 맡고 있는 최태원 SK 회장과 칼둔 알 무바락 무바달라 최고경영자(CEO)가 양측을 대표해 MOU에 서명했다.
이번 MOU는 탄소중립을 위해서 정부뿐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는 정부 의지가 반영됐다.
자발적 탄소시장(VCM)은 민간 기관이 인증한 탄소배출권이 거래되는 민간 주도 탄소시장이다. 이 시장이 활성화되면 기존에 탄소감축 의무가 있는 기업은 물론, 의무가 없는 기업이나 기관도 사회적 책임과 환경보호 등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사는 앞으로 파트너십을 구체화할 운영위원회와 워킹그룹 등 협의체를 구성해 세부 협력 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자발적 탄소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탄소감축인증 방법론의 신뢰도와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선행돼야 한다고 보고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논의키로 했다.
특히 양사는 아시아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아시아 지역기업 특성에 맞는 탄소시장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그동안 SK와 무바달라는 탄소감축 인증 및 거래 분야에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
SK는 지난 2021년 6월 아시아 민간기업 최초로 탄소감축 방법론과 탄소 감축량을 인증하는 탄소감축인증센터를 설립했다. 지난해 10월까지 SK 관계사의 저전력 반도체, 연비개선 윤활유 등 16건 방법론 및 74만톤의 감축 실적을 인증했다.
무바달라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주최국인 UAE의 자산 2840억 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다. 글로벌 친환경 분야 등에 투자해 왔고 지난 2019년 설립된 탄소배출권 거래 서비스 기업 에어카본 익스체인지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 SK, 미국서 ‘SK 바이오 나이트’ 개최…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 CES이어 ‘다보스’로 총출동하는 총수들…‘부산엑스포’ 유치 총력
- CES서 ‘탄소감축 행동’ 보여준 SK, 전시관에 3만여명 몰려
- 5대 그룹 총수 신년사, 글로벌 위기 속 ‘도전·고객·ESG’ 강조
- [2022 재계 결산] 사법 리스크 해소한 총수들, ‘해외수장’ 만나고 ‘젊은인재’로 ‘실적악화’ 타개 모색
- 쌍용건설, 두바이 ‘로얄 아틀란티스’ 호텔 사전 오픈 행사
- 삼성전자, 반도체 탄소배출 ‘전과정평가’ 검증 완료
- SK E&S, 북미 최대 수소 세미나 참가…글로벌 사업협력 기회 모색
- SK그룹, 사회문제 해결하는 ‘임팩트 유니콘’ 성공모델 만든다
- 최태원 회장, 유럽서 글로벌 경제협력 ∙ ESG 지형 넓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