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보인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내부 구조가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 보존처리 과정에서 액자형식의 목재 외곽 보호틀을 해체하고 드러난 벽화의 내부 구조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사찰벽화로, 2020년 보존처리를 위해 영주 부석사에서 문화재보존과학센터로 옮겨졌다.
이후 벽화에 대한 문헌조사, 과학적 조사·분석을 거친 결과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보존처리(1925~1927) 과정에서 균열부의 보강처리 등에 사용된 석고 보강제가 채색층에 백색의 오염물을 생성하고, 재균열을 일으키는 등 손상의 주요한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유물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석고 보강제를 제거하고, 벽체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2021년 외곽 보호틀을 해체했다.
해체된 벽화 외곽 보호틀은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제작된 것으로, 해체 결과 기존의 비파괴 분석으로 추정만 가능했던 조사당 벽화의 내부 상태를 국내 최초로 확인했다.
또한 구조재, 흙벽구조 등 벽체가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어 고려시대의 벽화제작기법 및 건축기법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부석사 조사당 벽화와 관련된 190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행정문서, 문화재 기록물, 학술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 보존-문헌조사 편'으로 발간했다.
보존처리의 첫 성과물인 이 보고서에는 일제강점기 행정문서인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서 찾은 당시의 보존처리 과정을 비롯한 과거 수리·보존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문서의 국역본을 수록하여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다.
- 문경 관음리 망댕이 가마, 국가민속문화재 된다
- 한국문화정보원 "160만건 문화지식자료 한 곳에서 확인하세요"
-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 저어새 겨울나기 이동경로 최초 확인
- 국악의 향연…광진문화재단, 신년음악회 '나루별곡' 개최
- 국내 가장 오래된 70년 전 '의용소방대 근무일지' 발견
- 니장이 사용한 전통건축기술…국립문화재연구원 사례집 발간
- 문화재청, 광주·전남·제주 비지정문화재 전수조사
- 문화재청, '김해 구산동 지석묘' 부지 내 유적 발굴허가
-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 새 단장
- 왕실 유물, 집에서 만난다…고궁박물관, 온라인 전시 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