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지난해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에 성공한 천연기념물 저어새 세 가족의 부모개체(수컷 3마리)와 자식개체(수컷 5마리)에 각각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끝에 겨울나기 이동경로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그간 저어새 이동경로 연구는 번식한 유조(어린개체)를 대상으로 수행했으나, 이번에는 부모개체와 자식개체의 이동경로를 비교하기 위해 처음으로 가족 단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동안 여름철새인 저어새 성조(부모개체)가 중국과 대만 등에서 겨울을 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으나 정확한 이동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지난해 6월 저어새 세 가족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고 방사한 후 지난해 10월 초부터 11월 초 사이에 겨울나기를 위해 이동하는 각 개체들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서남해안 연안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겨울을 나기 위해 부모와 자식개체가 서로 다른 경로로 중국과 대만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 중 수컷개체(nhc2202, nhc2205, nhc2208)의 경우 평균 시속 50km의 속력으로 약 1624km를 비행하여 대만에 최종 도착했으며, 자식개체 5마리 중 4마리(nhc2204, nhc2206, nhc2207, nhc2210)는 평균 시속 47km의 속력으로 약 967km를 비행하여 중국에 도착한 반면, 다른 1마리(nhc2203)는 평균 시속 51km의 속력으로 약 1379km를 비행하여 대만에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식개체가 부모개체로부터 특정 이동경로를 교육받거나 학습하는 것이 아닌, 겨울나기를 위한 장거리 이동에 특화된 이동경로를 스스로 학습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저어새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정보는 문화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어새는 전 세계에 3940여 마리만 생존하고 있어 보호가 절실한 종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저어새와 번식지를 함께 보존하기 위한 번식지 복원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며, 칠산도 번식지뿐만 아니라 저어새가 겨울을 나는 중국이나 대만 월동지에 대해서도 현지조사단을 구성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 니장이 사용한 전통건축기술…국립문화재연구원 사례집 발간
- 용천동굴 등 천연기념물·명승 6곳, 실감형 콘텐츠로 만난다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지류·직물 문화재 보존처리 영문교재 발간
- '제주의 자연, 세계의 유산이 되다' 특별전시…연구성과 공개
- 문화재청, 문화유산 산업 분야 청년 인턴 공모
- 문경 관음리 망댕이 가마, 국가민속문화재 된다
-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 내부 구조 최초 확인
- 문화재청, 광주·전남·제주 비지정문화재 전수조사
- 높이 10.2m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천연기념물 됐다
- 문화재청, '김해 구산동 지석묘' 부지 내 유적 발굴허가
- 율곡매 등 천연기념물 4대 매화 만개…“이번 주말 절정”
- 멸종위기종 따오기 30마리, 우포늪 자연의 품으로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된다
- “건강히 자라다오”…멸종위기 어름치 1천마리 금강에 방류
- 부안 위도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