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라져 가는 전통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해 건축문화재에 남겨진 벽체기술의 조사 내용을 수록한 '건축문화재 벽체 사례집'이 발간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는 고문헌 번역, 해체 수리 현장 조사 및 수리 기록 분석, 장인 의견 청취 등 다방면의 니장기술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이후 그 명맥이 끊긴 조선시대 니장(泥匠)이 사용했던 전통건축기술을 찾아나가고 있다.
'건축문화재 벽체 사례집'은 니장기술 연구의 네 번째 성과물로서, 2019년부터 축적해온 연구내용을 토대로 건축문화재에 남겨진 벽체기술의 조사 내용을 전통벽체 정의, 수리기록, 현장사례로 나누어 3권의 책자에 담았다.
1권 '건축문화재에 남겨진 벽체기술'에는 연구개요, 선행연구로 살펴본 벽체 구성재료, 중복·혼용되어 쓰이던 벽체 구성부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용어 제안과 이를 통한 벽체기술의 재해석 내용을, 2권 '기록에서 찾아본 벽체기술'에는 수리보고서 상에 기록된 국가지정 건축문화재 국보 10건의 벽체공사내용을, 3권 '현장에서 찾아낸 벽체기술'에는 실제 국가지정 건축문화재 10건의 해체수리현장에서 시공된 벽체의 재료와 시공기술을 정리해 수록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이번 보고서가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시대 전통건축기술의 귀중한 연구 자료로서 실제 문화재 수리복원 현장에 전통건축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구술·영상으로 전하는 무형문화재 대목(大木)의 삶
- 용천동굴 등 천연기념물·명승 6곳, 실감형 콘텐츠로 만난다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지류·직물 문화재 보존처리 영문교재 발간
-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충남대, 발굴조사 인력 양성에 맞손
- 고려 범종이 일본·류큐 문화사에 미친 영향은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신안선 보존 프로젝트 종합보고서 발간
- 국내 가장 오래된 70년 전 '의용소방대 근무일지' 발견
- 설 연휴, 궁·능·유적 22개소 무료 개방…수문장 세화 무료 나눔도
- “토끼 그림 받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경복궁 세화 나눔 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 저어새 겨울나기 이동경로 최초 확인
-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 내부 구조 최초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