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지류와 직물 문화재의 보존처리 기술과 지침을 담은 영문교재 'Conservation Basics'가 발간됐다.
‘Conservation Basics’는 아시아 현지기술교육에 적합한 문화재 재질별 보존처리의 기본서로써,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지난 10여 년간 몽골, 캄보디아, 미얀마 등 문화유산 보존‧관리 기반이 취약한 아시아권 중점협력대상국을 대상으로 현지 상황과 여건에 적합한 보존 기술을 전수하는 ‘현지기술교육(On-site Technical Training Program)’의 경험을 담은 영문 지침서를 발간해오고 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2020년 금속과 석조 문화재를 대상으로 한 보존처리 영문 지침서를 처음 내놓은데 이어 2021년에는 도기와 목조 문화재 보존처리 영문 지침서를 발간한 바 있다.
이번에 발간한 교재에는 조선 왕실에서 왕의 공간에 설치했던 지류 문화재인 '일월오봉도'의 세척 및 안료 안정화 등 보존처리 방법과 직물류인 국가등록문화재 '서재필 진료가운'을 충전재를 활용해 예방보존한 근현대 복식 예방보존 포장법 등 지류와 직물분야 국외 연구자들이 문화재 보존처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보존처리 사례와 노하우를 수록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앞으로도 문화재보존처리의 중심기관으로서 우리나라의 문화재보존처리 기술과 방법을 국외 현지기술교육을 통해 공유하고, 국내 문화재 보존처리기술의 국제적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종묘관리소·사단법인 영광, 무장애 관람 조성 위한 MOU
- 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도기 연구 활성화 위한 논문 공모
- 문화재청, 서해중부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그림책 발간
-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유산 사업, 캄보디아 정부 공로 훈장 수훈
- 문화재청 내년 예산 1조3508억원…올해보다 12.4% 늘어
- 용천동굴 등 천연기념물·명승 6곳, 실감형 콘텐츠로 만난다
- 구술·영상으로 전하는 무형문화재 대목(大木)의 삶
- 니장이 사용한 전통건축기술…국립문화재연구원 사례집 발간
-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 저어새 겨울나기 이동경로 최초 확인
- 나로우주센터 화재 발생…"누리호 3차 발사와 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