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라져가는 전통 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해 전통 건축 목공사를 담당하는 대목(大木)의 삶을 구술과 영상으로 풀어낸 보고서인 '근현대 大木 구술생애사'가 발간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펴낸 '근현대 大木 구술생애사'는 2022년부터 수행 중인 '전북 전통 건축 대목수 기술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 전통문화를 지키고 전승하는 데 일생을 바쳐온 장인이지만, 국가무형문화재 범주 밖에 있어 별다른 기록 없이 잊혀지고 있는 대목의 삶과 기술을 국민이 이해하고 그 가치에 공감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보고서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해 확보한 구술 및 영상채록 자료를 기초로 하여, 채록 대상 대목의 삶과 기·예능 체득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본래의 뜻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표준어와 지역어로 옮겨 적었다. 지역어의 경우 소리 나는 그대로 형태소를 밝혀 적는 형태음소 표기법으로 옮겨 적었다.
총 2장으로 구성되며 1장에는 국공립 박물관에 소장된 근현대 대목 사진 기록물, 2장에는 관계전문가 및 지역 대목의 추천을 받아 채록한 김정락, 전명복, 강의환 대목의 구술생애사를 수록했다. 또한 표준어 자막, 형태음소 자막, 수어 통역이 포함된 각각 세 가지 영상을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게재했다. 영상은 보고서에 있는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문화재청, '임진왜란 웅치 전적' 사적 지정
- 문화재청, 조선시대 경기 수군진 조사 보고서 발간
- 훈민정음 반포의 생생한 역사…'나신걸 한글편지' 보물 된다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지류·직물 문화재 보존처리 영문교재 발간
- 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도기 연구 활성화 위한 논문 공모
- 코카콜라, 새해 맞이 ‘코카콜라 토끼 패키지’ 한정판 출시
- "백제의 우수한 토목기술 확인"…부여 북나성 발굴현장 공개
- 전통 흥과 멋의 무대…서울남산국악당, 코리아그라피 개최
- 니장이 사용한 전통건축기술…국립문화재연구원 사례집 발간
- 국내 가장 오래된 70년 전 '의용소방대 근무일지' 발견
-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유영기 보유자 별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