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다가 각종 피싱 범죄의 주범인 악성 앱 탐지와 원격제어 상태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솔루션을 탑재하고 금융소비자 및 금융기관 보호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매일같이 사용하는 메신저 앱과 공공기관 앱을 사칭한 위변조 악성 앱 탐지 기능을 자동화하여 핀다 서비스 자체가 방화벽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핀다는 최근 다양한 수법으로 금융취약계층을 위협하는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악성 앱을 탐지하는 솔루션을 적용했다.
사용자가 핀다 앱을 열었을 때 모바일에 악성 앱이 발견되면 핀다 앱에서 즉시 안내 메시지로 악성 앱의 종류와 위험을 알리고 삭제를 돕는다.
핀다는 악성 앱 차단 솔루션 페이크파인더를 핀테크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페이크파인더는 보안 솔루션 전문기업 ‘에버스핀’의 악성 앱 탐지 솔루션으로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 카드, 저축은행, 보험사 등 24곳의 금융사에서 활용 중이다.
해당 솔루션은 고객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앱의 진위성을 검증하여 악성 앱 발견 가능성을 높인다. 현재까지 발견한 악성 앱은 421만8000여 개를 넘어섰다.
사용자가 핀다 앱을 열었을 때 해당 기기에서 악성 앱이 발견되면 즉시 안내 메시지가 나타난다. 사용자는 악성 앱의 종류를 확인하고 바로 삭제까지 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를 잘 다루지 못해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범죄에 노출되어 있는 금융취약계층이 핀다 앱을 열기만 하면 악성 앱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솔루션은 사용자가 앱을 바로 삭제하지 않아도 핀다 앱을 쓸 때마다 반복적으로 경고를 전달한다.
핀다는 서비스 이용 고객 보호를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피싱 범죄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고객의 범죄 피해 예방에 적극 대응하고 있으며 강화된 본인인증 절차를 도입해 타인의 명의도용 등 위험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회원가입 시도가 여러 번 발생하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회원가입을 차단하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핀다 보안 담당자는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수법으로 금융소비자 및 금융기관을 위협하는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범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 금융기관에 못지 않은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을 탑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 [Daily Pick 금융]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현대캐피탈, 핀다, 헥토파이낸셜, NH농협카드 外
- 핀다, 빅데이터 상권분석 스타트업 '오픈업' 인수
- 핀다-광주은행-KCB, 데이터 기반 신파일러 특화 서비스 추진
- 현대차·기아–핀다-하나은행, 커넥티드카 기반 특화 금융상품 개발
- 오는 9월부터 온라인 플랫폼 내 대부업 중개 가능
- 17일 수능날, 시중은행 10시 문 연다
- 핀다, 정확한 대출심사 위해 ‘인증서’ 사용률 개선
- 핀다, 숫자로보는 2022년…고객 대신 2억8500만번 뛰었다
- 핀다 '상생구조' 통해 금융사 수수료 낮추고 고객 혜택 높였다
- 핀다, 마이데이터로 대출 관리하는 사용자 20만명 돌파
- 30분 늦어진 은행 영업, 고객은 핀다로 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