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가 상권 분석 스타트업 오픈업의 지분 100% 인수했다고 27일 밝혔다.
오픈업은 2018년 설립된 상권 분석 플랫폼 스타트업이다.
지역 매장의 카드매출, 통신사, 소상공인 및 인구 통계학적인 각종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상권 특성을 분석해 알려준다.
그동안 직장인 신용대출에 집중했던 대출 플랫폼 서비스를 프리랜서, 소상공인 등 사업자 대상으로 본격 확대할 방침이다
핀다는 지난 11일 오픈업을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핀다가 오픈업의 지분 100%를 전부 인수하는 방식으로 발행할 신주, 증가할 자본금은 없다.
앞서 핀다는 지난달 9일 오픈업과 인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같은달 27일 이사회를 열어 해당 안건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핀다는 오픈업을 인수하며 소상공인 맞춤형 대출 시장으로 외연을 확대할 전략이다.
오픈업이 갖고 있는 8400만 매출 데이터와 매월 새롭게 생성되는 70만 개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해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보와 분석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핀다는 우선적으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한 대출 중개 부문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픈업 '창업비용 계산기' 서비스와 여러 대출 상품 조건을 비교해 중개하는 핀다의 '대출 비교' 기능을 결합해 초기 창업 자본금 분석부터 대출 중개까지 핀다 앱에서 한 번에 이뤄지는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자영업을 영위하는 소상공인 및 프리랜서 등 사업자대출을 혁신하기 위해 매출과 상권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고도화할 필요성을 느껴 오픈업과 손을 잡게 됐다”고 말했다.
황창희 오픈업 대표는 “이종산업 사이의 빅데이터를 유용하게 활용하여 이용 고객의 후회 없는 선택을 돕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Daily Pick 금융] BC카드, KDB생명, DB손보, 핀다 外
- 베어링PEA, 애큐온캐피탈에 대규모 유상증자 실시
- 핀다-광주은행-KCB, 데이터 기반 신파일러 특화 서비스 추진
- 현대차·기아–핀다-하나은행, 커넥티드카 기반 특화 금융상품 개발
- 오는 9월부터 온라인 플랫폼 내 대부업 중개 가능
- 핀다, 보이스피싱·스미싱 완전 차단 나선다
- 핀다, 정확한 대출심사 위해 ‘인증서’ 사용률 개선
- 핀다, 숫자로보는 2022년…고객 대신 2억8500만번 뛰었다
- 핀다 '상생구조' 통해 금융사 수수료 낮추고 고객 혜택 높였다
- 핀다, 마이데이터로 대출 관리하는 사용자 20만명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