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다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자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2년 핀다 연말결산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핀다는 올해 업계 최다인 62개 제휴 금융사에 2억8500만 번 상품 조회를 요청하해 기존 대출 과정에서 고객이 필요로 했던 1750만 시간을 절약했다.
이는 고객이 제휴 금융사 지점에 방문하여 서류 준비와 심사, 대출 집행까지 기다려야 할 시간을 핀다가 비대면 대출 비교 서비스로 1분 안에 해결했을 때 아낀 시간이다. 이 과정에서 절약한 서류만 연간 137만 장에 달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으며 ESG 경영을 실천했다.
핀다 사용자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핀다를 통해 대환대출을 받은 사용자의 70%가 1인당 평균 금리를 4.61%p 낮췄다.
또한 대환대출 사용자 열명 중 여덟 명은 1인당 평균 한도를 952만원 늘렸다. 기존에 대출을 갖고 있던 사용자들이 낮은 이자와 높은 한도로 갈아탈 수 있게 핀다가 도와준 셈이다.
핀다에서 올해 마이데이터 연결을 통해 대출을 관리한 고객도 20만 명을 넘어섰다. 핀다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나의 대출관리'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핀다는 마이데이터 연동을 통해 나의 흩어진 대출 내역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고 대출 상환 계좌 연결을 지원해 여윳돈이 생겼을 때 현명하게 대출을 갚아나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올해 핀다 앱 누적 다운로드 건수도 300만 건을 돌파했고 월간활성화지표(MAU)는 75만 건을 넘겼다. 2019년 7월 핀다 앱을 출시한 지 3년 만에 거둔 성과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올해도 업계 최다인 62개 금융기관과 함께 고객이 더 좋은 조건으로 대출을 갈아타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핀다가 도울 수 있었다”며 “변함없이 핀다를 사랑해주신 고객을 위해 내년에도 마이데이터를 바탕으로 더욱 정교하고 고객 친화적인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핀다, 정확한 대출심사 위해 ‘인증서’ 사용률 개선
- 핀다, 보이스피싱·스미싱 완전 차단 나선다
- 핀다, 빅데이터 상권분석 스타트업 '오픈업' 인수
- 핀다-광주은행-KCB, 데이터 기반 신파일러 특화 서비스 추진
- 현대차·기아–핀다-하나은행, 커넥티드카 기반 특화 금융상품 개발
- 핀다 '상생구조' 통해 금융사 수수료 낮추고 고객 혜택 높였다
- 핀다, 마이데이터로 대출 관리하는 사용자 20만명 돌파
- 30분 늦어진 은행 영업, 고객은 핀다로 갔다
- 핀다 연말정산계산기, 연휴 사용량 700% 급증
- ‘연말 특수’ 여기 몰렸다…핀다, 2022년 연말 수도권 외식업 현황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