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문재인 정부가 고용 차별 방지를 위해 비정규직 제로화를 추진할 당시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들도 자회사를 설립해 간접 고용 방식으로 5800여명을 채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희곤 의원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 6곳은 70억9000만원의 출자금을 조성해 자회사를 설립해 현재 5804명의 직원을 간접 고용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2018년 3677명에 비해 36%가 증가한 수치”라고 말했다.
기관별 출자액을 보면 ▲산업은행 15억원(케이디비비즈) ▲중기업은행 30억원(IBK서비스) ▲신용보증기금 5억원(신보운영관리(주)) ▲예금보험공사 1억원((주)예울FMC) ▲한국자산관리공사 9억9000만원((주)캠코CS) ▲한국주택금융공사 10억원(에이치에프파트너스(주))이었다.
또한 금융위 산하 6개 기관 모두 2018년보다 간접 고용 인원을 늘려 ▲산업은행 357명(64%) ▲중기업은행 1095(30%) ▲신용보증기금 240명(69%) ▲예금보험공사 73명(100%) ▲한국자산관리공사 266명(27%) ▲한국주택금융공사 96명(39%)을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김희곤 의원은 “지난 문재인 정권이 사회적 논의가 부족한 시점에 무리하게 ‘비정규직 제로화’를 추진하다 보니 절차상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며 “금융위 산하 공공기관도 정부의 압박에 못 이겨 울며 겨자 먹기로 자회사를 설립해 간접 고용을 했지만 무늬만 정규직이고 노동환경은 크게 변화되지 않아 세금은 세금대로 쓰고 또 다른 갈등만 야기시켰다”고 지적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공공기관이 직접고용, 자회사, 사회적기업 등 세 가지 전환방식 중 취사선택하도록 한 바 있다.
- 삼성전자, 2025년 2나노·2027년 1.4나노 양산 돌입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커넥티드카 시장 공략 본격화
- [스타트-ON] 한국주택정보 ‘관리비책’… "건물 관리부터 정산까지"
- 제로페이, 정부예산 400억원 지원에도 가맹점 63% 결제횟수 제로
- PLCC카드 시장 과열 양상...지난해 출시된 카드만 54종
- 안병길 의원 "文정부 5년 농식품 정책 총체적 실패"
- 윤정부 국정과제 펫보험, 가입률 여전히 1% 미만
- 코스피, 외국인 매수에 2200선 회복…환율은 하락세
- CJ제일제당 등 식품업계 "국산 쌀 사용확대" 약속
- 전동킥보드 교통법 무용지물…청소년 무면허 사고 138건 발생
- 강석훈 산업은행장 “부산 이전 직접 설득할 것”
- IBK기업은행 ‘2022 참 좋은 일자리 박람회’ 개최
- ‘IBK금융그룹-DS 녹색금융펀드’조성 업무협약 체결

